AWS EC2 환경설정 가이드 - 프리 티어로 시작하는 서버 만들기
[리눅스] 02. AWS EC2 환경설정 가이드 — 프리 티어로 시작하는 서버 만들기 🚀
첫 EC2 만들 때 어디서 뭘 눌러야 할지 막막했나요? 😵💫 이번 글에서는 프리 티어로 인스턴스를 만들고(AMI·타입·키페어·스토리지) 보안 그룹까지 안전하게 열어 둔 다음, SSH로 원격 접속해 바로 리눅스 명령어를 실행하는 순간까지 한 번에 연결해 드릴게요.
안녕하세요! 개발 입문자분들이 제일 많이 막히는 부분, 바로 “클라우드에서 서버 한 대를 처음부터 끝까지 제대로 올려보기”더라구요. 그래서 이번에는 AWS에서 가장 많이 쓰는 EC2를 기준으로, 계정 준비 → 인스턴스 생성(AMI/인스턴스 타입/키 페어/네트워크/스토리지) → 보안 그룹 규칙 설정(SSH/HTTP/HTTPS) → macOS/Linux/Windows에서 원격 접속 → 리눅스 기본 명령어 순서로, 정말 필요한 화면과 명령만 콕 집어 정리했습니다. 특히 초보자 관점에서 헷갈리는 선택지는 왜 그런지 이유까지 붙여 드릴 거예요. 글 흐름만 따라오면 프리 티어 안에서 안전하게 시작할 수 있고, 마지막에는 꼭 필요한 명령어들로 서버 생활 기본기까지 챙길 수 있습니다. 중간중간 체크리스트·표·코드를 곁들여 바로 따라 하기 좋게 구성했어요. 자, 이제 진짜 “내 서버”의 첫 부팅을 함께 해볼까요? 😎
목차
1. AWS·EC2 핵심 개념 한 장 요약 📘
먼저 큰 그림부터 잡고 가요.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서버이고, 우리가 선택하는 건 운영체제(AMI), 성능 사양(인스턴스 타입), 문 열어주기(보안 그룹), 열쇠(키 페어), 디스크(EBS)입니다. 프리 티어에서는 EBS를 기본 8GB로 시작하되 최대 30GB까지 무료로 쓸 수 있어 입문 연습에 딱 맞습니다.
구성요소 | 설명 | 초보자 추천값/주의 |
---|---|---|
리전(Region) | 서버가 물리적으로 위치하는 지역 | 테스트는 보통 서울 리전으로 진행하면 지연이 적어요. |
AMI | 서버 OS 이미지 (예: Amazon Linux) | 프리 티어 무료 운영체제를 선택하세요. |
인스턴스 타입 | vCPU/메모리 등 사양(성능/비용 결정) | t2.micro가 프리 티어 대상입니다. |
키 페어(.pem) | SSH 접속용 비밀키 | 생성 즉시 다운로드·보관 필수 (재발급 불가). |
보안 그룹 | 인바운드/아웃바운드 네트워크 방화벽 | 리눅스는 SSH 22/TCP 필수 허용. 무분별한 0.0.0.0/0 허용은 보안 주의! |
스토리지(EBS) | 인스턴스가 사용하는 디스크 | 기본 8GB로 시작, 프리 티어에서 최대 30GB 무료. |
빠른 체크리스트 ✅
- ■리전을 서울로 변경했다.
- ■프리 티어 AMI를 선택했다.
- ■t2.micro를 골랐다(프리 티어).
- ■키 페어(.pem)를 다운로드·안전 보관했다.
- ■보안 그룹에 SSH(22)를 열고 소스 IP 범위를 신중히 설정했다.
- ■EBS는 기본 8GB로 두고 필요 시 30GB 이하로 조절.
첫 접속(SSH) 필수 예제 🗝️
macOS/Linux는 터미널에서 아래 2단계를 꼭 지키면 됩니다. ① 키 파일 권한을 400으로 맞추고 ② ec2-user@퍼블릭IP
로 접속하는 순서예요.
# 1) 키 파일 확인
ls
# 2) 권한 설정 (중요)
chmod 400 "내키이름.pem"
# 3) SSH 접속 (Amazon Linux의 기본 계정: ec2-user)
ssh -i "내키이름.pem" ec2-user@퍼블릭_IP
위 형식(권한 400 → ssh -i → ec2-user)은 PDF의 예제 흐름과 동일합니다. 샘플에서는 seoul-server1-key.pem
이름으로 실행했죠.
보안 그룹 설정 핵심 요령 🔐
- ■리눅스 접속을 위해 SSH 22/TCP는 필수 허용.
- ■
0.0.0.0/0
은 어디서나 열리므로 주의하세요(가능하면 내 IP만). - ■웹 서버 실습 시 HTTP(80), HTTPS(443)도 함께 엽니다.
시작과 상태 확인 🟢
EC2 대시보드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누르고(설정 검토 후) Running 상태를 확인하면 준비 완료입니다.
Windows 사용자를 위한 메모 💡
PuTTY/Xshell을 사용할 경우 .pem → .ppk
변환이 필요할 수 있어요. 공식 다운로드 링크도 PDF에 정리되어 있습니다.
요약 🔎
- ■서울 리전 + 프리 티어 AMI + t2.micro 선택으로 비용 최소화.
- ■키 페어는 생성 즉시 다운로드하고 권한 400으로 설정 뒤 SSH 접속.
- ■보안 그룹에서 22/80/443 포트 정책을 상황에 맞게 최소 권한으로.
- ■EBS는 8GB 시작, 프리 티어 30GB 내에서 조정.
2. 프리 티어 계정 준비 & 비용 관리 체크리스트 💳
“처음엔 공짜로 시작하고, 예상치 못한 과금은 없게.” 이 목표로 계정부터 차근차근 정리해볼게요. 가입 단계에서 기본 지원(무료)을 선택하고(Support = Basic), 콘솔 로그인 후 리전을 서울로 바꿔두면 지연과 혼선을 줄일 수 있어요.
단계 | 무엇을 고를까? | 왜 그렇게? | 근거 |
---|---|---|---|
지원 플랜 | 기본 지원(무료) | 연습 단계에 과금 없이 시작 | 플랜 선택 화면에서 기본 지원 - 무료 제공. |
리전 | 서울(ap-northeast-2) | 지연↓, 과금/한도 혼선 방지 | 가이드에 리전 변경 → 서울 명시. |
AMI | 프리 티어 무료 OS | 무료 범위 내 사용 보장 | “프리 티어 무료 운영 체제 선택” 안내. |
인스턴스 타입 | t2.micro | 프리 티어 대상 사양 | t2.micro 선택 지침. |
네트워크 | 초기엔 기본 옵션 | 불필요한 리소스 생성 회피 | “네트워크 설정: 기본 옵션 그대로” 권장. |
스토리지(EBS) | 8GB 시작, 30GB 이하 유지 | 프리 티어 범위 준수 | “기본 8GB, 프리 티어는 최대 30GB 무료”. |
키 페어 | .pem 즉시 다운로드·보관 | SSH 접속에 필수, 분실 시 재발급 불가 | 키 페어 다운로드·안전 보관 강조. |
생성·실행 체크리스트 ✅
- ■AWS 콘솔 로그인 → EC2 검색 → 인스턴스 시작 클릭.
- ■AMI는 프리 티어 무료 OS 선택, 타입은 t2.micro.
- ■키 페어 생성 시 .pem 즉시 저장(필수).
- ■EBS는 8GB~30GB 내에서 시작.
- ■최종 검토 후 인스턴스 시작 → 상태가 Running인지 확인.
비용이 새는 포인트 & 예방법 💧
- ■스토리지를 과도하게 늘리면 프리 티어 초과 → 8GB로 시작하고 30GB 이하 유지.
- ■보안 그룹을 무분별하게 열면 보안 사고 리스크 →
0.0.0.0/0
전체 허용은 지양, 특히 SSH 22는 최소 IP로. - ■네트워크는 초기엔 기본 옵션으로 간단히 시작(불필요 리소스 방지).
(참고) 키 보관 & 첫 접속 전 점검 🗝️
SSH 접속은 뒤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지만, 지금 할 일은 하나예요. 키(.pem)를 안전한 폴더에 보관하고 파일 권한을 체크할 준비를 해두기. 키 보관은 가이드에서도 수차례 강조돼요.
# (다음 섹션에서 이어질 SSH 예행연습 예시: PDF 예제 그대로)
ls
chmod 400 "seoul-server1-key.pem"
ssh -i "seoul-server1-key.pem" ec2-user@인스턴스_퍼블릭IP
위 명령은 PDF 예시와 동일한 흐름(권한 400 → ssh -i → ec2-user)입니다.
요약 🔎
- ■기본 지원(무료) + 서울 리전으로 시작.
- ■프리 티어 안전 조합: 프리 티어 AMI + t2.micro + EBS 8~30GB.
- ■키(.pem)는 즉시 저장·보관 → 다음 단계의 SSH 접속 준비 끝.
3. EC2 인스턴스 생성: AMI·인스턴스 타입·키 페어·네트워크·스토리지 🖥️
이제 진짜로 인스턴스를 만들어 봅시다. 아래 단계는 PDF의 화면 흐름 그대로 따라 쓰되, 초보자분들이 헷갈리는 선택 포인트(예: AMI, 인스턴스 타입, 키 페어,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쉽게 고를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곁들였습니다. 콘솔 접속 → 인스턴스 시작 → 항목별 설정 → 검토/생성 → 상태 확인 순으로 진행해요.
- EC2 대시보드 열기 → AWS 콘솔 상단 검색에
EC2
입력 후 이동합니다.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하세요. - AMI 선택 → 운영체제 이미지를 고르는 단계입니다. 프리 티어 무료 운영 체제를 선택하면 과금 걱정을 줄일 수 있어요.
- 인스턴스 유형 → 프리 티어에 해당하는 t2.micro를 고릅니다(학습 용도로 충분).
- 키 페어 → 새로 생성 시
.pem
파일을 즉시 다운로드해 안전하게 보관하세요. 이 키가 있어야 SSH로 접속합니다. 분실 시 재발급 불가라 정말 중요! - 네트워크 설정 → 처음에는 기본 옵션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불필요 리소스 생성 방지).
- 스토리지(EBS) → 기본 8GB로 시작하고, 프리 티어에서 최대 30GB까지 무료입니다. 학습 단계면 8~16GB면 충분합니다.
- 검토 후 생성 → 설정을 확인하고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 생성합니다. 이후 대시보드에서 Running 상태인지 확인하세요.
초보자 추천 설정 요약표 ✅
항목 | 추천값 | 이유 | PDF 근거 |
---|---|---|---|
AMI | 프리 티어 무료 OS | 과금 최소화·학습 적합 | 프리 티어 선택 가능 명시. |
인스턴스 타입 | t2.micro | 프리 티어 대상 · 비용 제로 | t2.micro 선택 지침. |
키 페어 | 새로 생성 후 .pem 즉시 저장 | SSH 접속 필수, 분실 시 복구 불가 | 다운로드·보관 강조. |
네트워크 | 기본 옵션 | 처음엔 단순 구성이 안전 | 기본 옵션 권장. |
스토리지(EBS) | 8GB(필요 시 ≤30GB) | 프리 티어 한도 내 무료 | 8GB 기본, 30GB 무료. |
보안 그룹은 어떻게 열까? (미리보기) 🔐
- ■인스턴스 접근 제어 방화벽 역할(인바운드/아웃바운드).
- ■SSH(22)는 리눅스 접속 필수,
0.0.0.0/0
전체 허용은 보안상 주의(가능하면 내 IP만). 다음 단계에서 자세히 다뤄요.
(중요) 키 파일 권한과 SSH 접속 예행연습 🗝️
키 페어를 저장했다면, 다음 명령 두 개만 기억하세요: chmod 400으로 권한 설정 → ssh -i로 접속. (아직 보안 그룹이 막혀 있으면 접속이 안 될 수 있으니 다음 섹션에서 포트를 열 겁니다!)
ls
chmod 400 "seoul-server1-key.pem"
ssh -i "seoul-server1-key.pem" ec2-user@인스턴스_퍼블릭IP
위 명령은 PDF 예시와 동일한 흐름입니다(권한 400 → ssh -i → ec2-user).
자주 막히는 지점 & 빠른 해결 💡
- ■상태가 Running이 아닌가요? → 생성 직후 수 분 기다렸다가 새로고침. 대시보드에서 상태 확인.
- ■SSH가 거부되나요? → 곧 다룰 보안 그룹에서 22/TCP가 열려 있는지 확인.
- ■Windows라면
.pem → .ppk
변환 후 PuTTY/Xshell 사용 가능합니다(공식 링크는 PDF 참고).
요약 🔎
- ■AMI는 프리 티어 무료 OS, 타입은 t2.micro로 시작.
- ■키 페어는 생성 즉시 .pem 저장·보관(SSH 필수). :
- ■네트워크는 기본 옵션, EBS는 8GB(≤30GB 무료).
- ■생성 후 상태가 Running인지 꼭 확인.
04. 보안 그룹 설정: SSH(22)·HTTP(80)·HTTPS(443) 안전 개방 🔐
이제 인스턴스에 “어떤 문을, 누구에게 열어줄지” 정하는 단계예요. 보안 그룹(Security Group)은 EC2 인스턴스의 네트워크 접근을 제어하는 필수 방화벽이며, 여기서 SSH·HTTP·HTTPS처럼 허용할 포트를 지정합니다. 리눅스 기반 인스턴스는 원격 접속을 위해 SSH(22)를 반드시 허용해야 하고, 0.0.0.0/0
처럼 전 세계 누구나 접근 가능한 설정은 보안상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무엇을 열어야 하나? ✅
- ■SSH (22/TCP): 리눅스 원격 접속 필수. 반드시 허용.
- ■HTTP (80/TCP): 웹 서버를 연다면 필요.
- ■HTTPS (443/TCP): TLS(SSL) 적용 웹 서비스용.
- ■
0.0.0.0/0
전체 허용은 보안적으로 주의(특히 SSH). 필요 시에만 사용하고 가급적 “내 IP”만 허용하세요.
콘솔에서 인바운드 규칙 여는 법 (간단 순서) 🧭
- EC2 대시보드 → 인스턴스 → 대상 인스턴스 선택 → 하단 탭에서 보안 → 보안 그룹 클릭.
- 인바운드 규칙 편집 → 규칙 추가에서 SSH(22) 선택 후 소스 범위 지정(가능하면 내 IP). 저장.
- 웹 서버를 띄울 계획이라면 HTTP(80), HTTPS(443)도 같은 방식으로 추가합니다.
추천 인바운드 규칙 예시 표 🧱
유형(Type) | 프로토콜 | 포트 | 소스(CIDR) | 비고 |
---|---|---|---|---|
SSH | TCP | 22 | 내 IP (권장) 또는 0.0.0.0/0 | 리눅스 접속 필수 포트. 전체 허용은 보안 주의. |
HTTP | TCP | 80 | 0.0.0.0/0 (웹 공개 시) | 웹 서버 트래픽 수신. 필요할 때만 개방. |
HTTPS | TCP | 443 | 0.0.0.0/0 (웹 공개 시) | 암호화된 웹 트래픽 수신. 필요할 때만 개방. |
설정 전·후 체크리스트 ☑️
- ■보안 그룹이 대상 인스턴스에 연결되어 있는지
- ■SSH(22)가 열려 있는지 (리눅스 접속 필수)
- ■웹 서버 공개 시 HTTP/HTTPS도 필요한 범위로만 개방했는지
- ■
0.0.0.0/0
사용 시 보안 위험을 이해하고 있는지(가능하면 “내 IP” 권장)
(필수) SSH 접속 테스트 🗝️
규칙을 저장했으면 SSH 접속이 되는지 바로 확인해요. PDF의 예제 형식을 그대로 따라 하면 됩니다.
ls
chmod 400 "seoul-server1-key.pem"
ssh -i "seoul-server1-key.pem" ec2-user@인스턴스_퍼블릭IP
위 명령은 PDF의 샘플과 동일한 흐름(권한 400
→ ssh -i
→ ec2-user
)입니다.
Windows 사용자는? 💡
.pem → .ppk
변환 후 PuTTY 또는 Xshell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공식 링크는 자료에 포함).
연결이 안 될 때 빠른 점검 🔍
- ■인바운드 규칙에 SSH(22)가 있는지 확인(특히 소스 범위).
- ■웹 접속 문제라면 HTTP/HTTPS 규칙도 추가되어 있는지 확인.
요약 🔎
- ■보안 그룹은 인스턴스 접근을 제어하는 문지기. 필요한 포트만 최소한으로 개방.
- ■리눅스 접속은 SSH(22) 필수,
0.0.0.0/0
전체 허용은 위험 인지. - ■웹 서버라면 HTTP/HTTPS도 상황에 맞게 추가.
5. 원격 접속 가이드: macOS/Linux의 SSH & Windows의 PuTTY·Xshell 🗝️
이제 내 노트북 ↔ EC2 인스턴스를 연결해볼 차례예요. PDF에는 OS별 접속법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어요. macOS/Linux에선 터미널에서 ssh -i
한 줄이면 끝! Windows는 .pem → .ppk로 변환해 PuTTY나 Xshell로 접속합니다.
(A) macOS·Linux — 키 권한(400) → SSH 접속 순서 ✅
PDF의 예제 흐름을 그대로 따라 하세요. ① 키 파일이 있는 폴더에서 ② 권한을 400
으로 조정하고 ③ ec2-user@퍼블릭IP
로 접속합니다.
# 1) 키 파일이 있는지 확인
ls
# 2) 권한을 400으로 (중요)
chmod 400 "seoul-server1-key.pem"
# 3) SSH 접속 (Amazon Linux의 기본 계정: ec2-user)
ssh -i "seoul-server1-key.pem" ec2-user@인스턴스_퍼블릭_IP
위 형식은 PDF의 샘플과 동일합니다. 기본 템플릿은 아래와 같아요.
ssh -i "다운로드한_키_파일.pem" ec2-user@인스턴스의_퍼블릭_IP
접속 후 화면 읽는 법: 프롬프트 · 홈 디렉터리
- ■프롬프트는 명령 입력을 기다리는 표시이며, 일반 사용자는
$
, 관리자(root)는#
로 보일 수 있어요. - ■
ec2-user@IP:~
에서ec2-user
는 계정명,IP
는 호스트,~
는 홈 디렉터리를 뜻합니다(Amazon Linux의 기본 계정: ec2-user).
(B) Windows — .pem → .ppk 변환 후 PuTTY·Xshell 사용 💡
Windows에서는 .pem 키를 .ppk로 변환해 SSH 클라이언트에 로드해야 합니다. 공식 다운로드 링크도 자료에 포함되어 있으니 그대로 사용하세요.
항목 | 요약 | 근거 |
---|---|---|
키 변환 | .pem → .ppk 변환 후 SSH 도구에 등록 | PDF에 변환 지시 명시. |
PuTTY |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후 사용 | 공식 링크 제공. |
Xshell | 홈/교육용 무료 버전 사용 가능 | 공식 링크 제공. |
연결이 안 될 때 3가지 점검 🔍
- ■키 권한이 400인지(
chmod 400
) — 권한이 널널하면 SSH가 거부될 수 있어요. - ■보안 그룹에서 SSH(22)가 열려 있는지 — 전체 공개(
0.0.0.0/0
)는 위험하니 가급적 내 IP만. - ■계정/호스트가 정확한지 —
ec2-user@인스턴스_퍼블릭_IP
형태를 다시 확인.
접속 종료 방법(quit)도 익혀두기 👋
- ■명령어로 종료:
exit
- ■단축키로 종료:
Ctrl + D
- ■또는 터미널 창 닫기(우측 상단 ×).
실전 체크리스트 ✅
- ■키가 있는 폴더에서 명령 실행(
ls
로 파일 확인). - ■
chmod 400 "키.pem"
후ssh -i
로 접속. - ■Windows라면 .ppk 준비 후 PuTTY/Xshell 사용.
요약 🔎
- ■macOS/Linux:
chmod 400
→ssh -i "키.pem" ec2-user@IP
. - ■Windows: .pem → .ppk 후 PuTTY/Xshell.
- ■안 되면 보안 그룹의 SSH(22) 규칙과 IP 범위를 점검.
6. 리눅스 기본 명령어 스피드런: ls · pwd · cd · date · clear · man ⌨️
SSH로 접속했다면 이제 “기본기”를 빠르게 다져볼 차례예요. 명령의 구조는 딱 하나만 기억하세요: 명령 [옵션] [인자]
. 옵션은 세부 기능(-a
처럼 하이픈으로 시작)이고, 인자는 보통 파일/디렉터리
같은 대상이에요. PDF에도 이 형식과 예제가 그대로 나옵니다.
핵심 6종 한눈에 보기 🧭
명령 | 무엇을 하나요? | 대표 예제 | 출처/근거 |
---|---|---|---|
ls |
디렉터리 목록 보기 | $ ls , $ls -a , $ls /tmp , $ls –a /tmp |
PDF 예제 동일. |
pwd |
현재 작업 디렉터리 경로 출력 | pwd , pwd -P , pwd -L |
리눅스 man 페이지. |
cd |
작업 디렉터리 이동 | cd /tmp , cd (홈), cd - (이전) |
POSIX cd 명세. |
date |
현재 날짜·시간 출력 | $ date |
PDF 기초 명령. |
clear |
터미널 화면 지우기 | $clear |
PDF 설명. |
man |
명령 사용법(매뉴얼) 보기 | $man clear |
PDF 예제 동일. |
프롬프트·홈 디렉터리 감 잡기 🏠
- ■프롬프트는 명령 대기 표시로, 배시 셸은 보통
$
, 관리자(root)는#
로 보여요. - ■
ec2-user@IP:~
에서~
는 홈 디렉터리를 의미해요. (Amazon Linux 기본 계정은ec2-user
)
1) ls
— 목록 보기의 기본 중 기본 📁
PDF의 예제 코드를 그대로 사용합니다(표준 표기도 함께 병기).
# PDF 예제 (그대로)
$ ls
$ls -a
$ls /tmp
$ls –a /tmp
# 권장 표기(가독성·일반 표준)
$ ls
$ ls -a
$ ls /tmp
$ ls -a /tmp
-a
는 숨김 파일(.
으로 시작)까지 모두 출력하는 옵션이에요. (명령·옵션·인자 형식은 위 표와 동일)
2) pwd
— “내가 지금 어디지?” 현재 경로 출력 📍
pwd
는 현재 작업 디렉터리의 전체 경로를 출력합니다. -P
(실경로) / -L
(심볼릭 링크 반영) 옵션을 지원해요.
pwd # 현재 경로
pwd -P # 모든 심볼릭 링크 해석(물리 경로)
pwd -L # 환경변수 PWD 사용(링크 경로 유지)
3) cd
— 디렉터리 이동의 정석 🚶
cd
는 현재 셸의 작업 디렉터리를 바꾸는 셸 내장 유틸리티입니다. 인자를 생략하면 홈 디렉터리로 이동하고, cd -
는 직전 디렉터리로 돌아갑니다.
cd /tmp # /tmp로 이동
cd # 홈(~)으로 이동
cd - # 이전 디렉터리로 이동(토글)
4) date
— 현재 날짜·시간 확인 ⏰
$ date
PDF에서 소개된 기본 예제 그대로입니다. (스크립트 타임스탬프 찍을 때 자주 사용)
5) clear
— 터미널 화면을 말끔하게 🧼
$clear
화면을 지우고 커서를 좌상단으로 보냅니다(옵션/인자 없음). 터미널 종류에 따라 스크롤백까지 지울 수도 있어요.
6) man
— 최고(=공식) 도움말 📚
리눅스가 제공하는 각종 명령의 사용법·옵션을 정확히 보여줍니다. PDF 예제로 clear
매뉴얼을 바로 열어봐요.
$man clear
space
/↑↓
/q
로 페이지를 넘기고 종료합니다.
3분 스피드런 실습 ⏱️
- 어디 있는지 확인 —
pwd
. (현재 디렉터리 경로) - /tmp로 이동 —
cd /tmp
. (임시 폴더) - 목록 보기 —
$ ls
,$ls -a
,$ls –a /tmp
. (PDF 예제) - 시간 체크 —
$ date
. - 화면 정리 —
$clear
. - 도움말 확인 —
$man clear
후q
로 종료.
(중요) 명령행 편집 & 접속 종료 단축키 ✂️
- ■문자 지우기: Backspace/Delete. 단어 지우기: Ctrl + W. 행 지우기: Ctrl + U.
- ■터미널 종료: exit 또는 Ctrl + D, 혹은 창의 ×.
(보너스) 내가 누구인지, 권한은? 👤
- ■현재 계정 확인:
$whoami
- ■관리자 셸(주의!):
sudo su -
요약 🔎
- ■
명령 [옵션] [인자]
패턴을 몸에 익히자(예:ls -a /tmp
). - ■PDF의
$ ls / $ls -a / $man clear
등 예제를 그대로 따라 하며 감각을 익히자. - ■
pwd
로 위치를 확인하고cd
로 이동, 막혔을 땐man
으로 해결!
7. 마무리 — 이제 ‘내 서버’가 생겼어요 🎉
여기까지 따라 오셨다면, 진짜로 클라우드 첫걸음을 떼셨어요. 프리 티어 조합(AMI·t2.micro·EBS 8~30GB)으로 인스턴스를 만들고, 보안 그룹에서 꼭 필요한 포트만 열었으며(SSH 22는 필수, 0.0.0.0/0 전체 허용 주의), SSH로 원격 접속해 리눅스 기본 명령어까지 손에 익혔습니다. 이 흐름만 숙달해도 이후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배포 자동화까지 확장하는 데 탄탄한 기반이 돼요.
오늘 우리가 완성한 것 ✅
- ■EC2 인스턴스 생성 — 프리 티어 OS와 t2.micro 선택, EBS 8GB(≤30GB 무료) 구성.
- ■키 페어 준비 —
.pem
을 다운로드·보관(SSH 접속 필수). - ■보안 그룹 규칙 — SSH(22) 허용, 전체 공개 범위는 신중히.
- ■SSH 접속 —
chmod 400
→ssh -i "키.pem" ec2-user@IP
순서. - ■리눅스 기본기 —
$ ls / $ls -a / $ls –a /tmp / $ date / $clear / $man clear
.
다음으로 해볼 것 🔭
- 패키지 업데이트 & NGINX 설치 — HTTP(80) 열고 첫 웹 페이지 띄우기.
- 사용자/권한 기초 —
whoami
,sudo
, 사용자 추가로 협업 준비. - 스냅샷·AMI 백업 — ‘지금 상태’를 저장해 두면 실험이 더 과감해져요.
- 보안 강화 — SSH 소스 IP 제한, 키 보관 정책, 필요 시 포트 폐쇄 점검.
세션 정리하고 퇴근하기 🧹
- ■접속 종료:
exit
또는Ctrl + D
, 혹은 터미널 창 × 클릭. - ■인스턴스 상태는 대시보드에서 Running인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