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MySQL과 MariaDB, 무엇이 같고 다를까?

코딩 코디네이터 2025. 4. 7. 08:39
반응형

MySQL과 MariaDB, 무엇이 같고 다를까?

두 데이터베이스가 같은 줄 알았던 당신!
성능과 라이선스, 기능의 미묘한 차이를 알고 나면...
선택이 달라질지도 몰라요 🤔

 

 

안녕하세요 😊

개발 초보자분들께 도움이 되고 싶은 블로그, 오늘은 MySQL과 MariaDB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둘 다 대표적인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지만, 이름만 비슷한 게 아니랍니다.

처음 접하는 분들은 "이 둘이 뭐가 다르지?"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저도 처음엔 비슷하다고만 생각했었어요.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서버 환경을 구성하다 보면 둘의 차이점과 선택 기준이 매우 중요하게 다가오더라구요.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 두 데이터베이스의 탄생 배경부터 주요 기능 차이, 사용 시 고려할 점까지 쏙쏙 알려드릴게요.

한 번 제대로 알아두면, 다음에 어떤 DB를 써야 할지 고민이 확~ 줄어듭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볼까요? 😎

1. MySQL과 MariaDB의 탄생 배경 ⛳

MySQL과 MariaDB는 모두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두 프로젝트의 출발점은 하나였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바로 MySQL AB라는 스웨덴 회사에서 출발한 이야기입니다.

 

두 데이터베이스는 같은 뿌리에서 나왔지만, 현재는 서로 다른 길을 걷고 있어요.

이걸 알면 둘 중 어떤 걸 선택할지도 쉽게 정리되죠!

MySQL의 시작과 Oracle 인수

MySQL은 1995년 Michael Widenius(미카엘 위데니우스)와 그의 동료들이 설계한 가볍고 빠른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로, 리눅스 진영에서 많은 사랑을 받았죠.

그러다 2008년, 오라클(Oracle)이 Sun Microsystems를 인수하면서 MySQL의 소유권도 함께 가져가게 됩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걱정했어요.

“오라클이 이걸 폐쇄적으로 바꾸지 않을까?”라는 의문이었죠.

당시 오픈소스를 신뢰하고 사용하던 커뮤니티 입장에서는 큰 충격이었고요.

MariaDB의 등장

이런 불안감 속에서 MySQL의 창시자인 미카엘이 다시 나섰습니다.

그는 2009년, MySQL과 호환되면서도 독립적인 오픈소스 DB인 MariaDB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이름은 그의 딸 'Maria'에서 따왔다고 하죠 (참고로 MySQL은 그의 또 다른 딸 ‘My’에서 유래).

MariaDB는 MySQL의 포크(Fork) 프로젝트로서, 커뮤니티 주도로 완전히 오픈소스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개발 방향도 투명하게 공개되고, 엔터프라이즈 버전도 오픈소스 기반이에요.

📋 정리: MySQL과 MariaDB의 역사 비교

항목 MySQL MariaDB
출시 연도 1995 2009
개발사 Oracle MariaDB Foundation
라이선스 GPL v2 (제한 가능) GPL v2 (완전 자유)
호환성 초기에는 완벽 MySQL 5.5까지 완벽 호환

정리하자면,

MySQL은 상업성과 안정성을 추구하는 기업 환경에 적합하고,

MariaDB는 완전한 오픈소스 생태계를 선호하는 개발자나 커뮤니티에 더 잘 맞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이 둘이 실제로 얼마나 비슷한지, 공통점부터 살펴볼게요!

 

 

2. 두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공통점 🔁

MySQL과 MariaDB는 서로 갈라져 나왔지만,

기본적으로는 같은 뿌리에서 출발한 만큼 기능적으로 매우 비슷해요.

실제로 많은 초보자들은 둘 중 어떤 걸 설치해도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곤 하죠.

 

하지만 비슷해 보이는 것과 실제로 내부적으로 같은 구조라는 건 또 다른 이야기입니다.

그래도 일단, 우리가 실무에서 자주 접하게 될 공통된 기능부터 정리해볼게요!

SQL 문법과 기본 명령어

가장 큰 공통점은 당연히 SQL 언어를 동일하게 사용한다는 점입니다.

즉, SELECT, INSERT, UPDATE, DELETE 같은 명령어는 두 DB에서 모두 동일하게 작동해요.

🧪 예시: 동일한 SQL 사용

CREATE TABLE users (
  id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name VARCHAR(100),
  email VARCHAR(100) UNIQUE
);

위 SQL은 MySQL에서도, MariaDB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테이블 생성, 데이터 삽입, 조회 등 대부분의 일반적인 작업은 문제없이 호환돼요.

호환성 있는 클라이언트 도구들

MySQL Workbench, DBeaver, phpMyAdmin 등 대부분의 DB 클라이언트 툴은 MariaDB와도 완벽하게 호환됩니다.

초보자들이 GUI 환경에서 쿼리를 연습하기에 무리 없죠.

스토리지 엔진 구조

두 DB 모두 스토리지 엔진이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InnoDB라는 엔진이 사용되며, 트랜잭션 처리와 외래 키 지원이 가능하죠. MariaDB는 추가적으로 Aria, XtraDB 등 다양한 자체 엔진을 탑재하고 있어요.

🔁 공통점 요약

  • 동일한 SQL 문법 지원
  • 공통적인 기본 스토리지 엔진(InnoDB)
  • 동일한 DB 클라이언트 도구 사용 가능

이처럼 MySQL과 MariaDB는 처음 배울 때는 거의 구분할 필요가 없을 만큼 공통된 기반을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지금부터가 진짜 본론이죠.

 

다음 섹션에서는 이 두 데이터베이스의 결정적인 차이점들에 대해 파헤쳐볼게요.

특히 실무에선 이 부분이 DB 선택의 핵심 포인트가 되니까요!

 

 

3. MySQL vs MariaDB, 주요 차이점 비교 ⚔️

자, 이제 진짜 궁금했던 부분!

MySQL과 MariaDB의 본격적인 차이점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같은 뿌리에서 나왔지만, 갈수록 다른 길을 걷고 있는 이 두 DBMS는 성능, 라이선스, 기능, 그리고 개발 방향 등 여러 면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요.

라이선스 정책의 차이

MySQL은 GPL v2를 따르긴 하지만, Oracle의 상업적 정책에 따라 Enterprise Edition과 Community Edition으로 나뉘며 일부 기능은 유료로 제공돼요.

반면 MariaDB는 커뮤니티 중심의 GPL v2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모든 기능이 무료이자 오픈소스로 공개됩니다.

성능과 기능 향상 속도

MariaDB는 개발 속도가 굉장히 빠릅니다.

ColumnStoreSpider 같은 고급 스토리지 엔진도 제공되고, 병렬 쿼리 처리, 가상 컬럼 등 MySQL보다 먼저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요.

반면 MySQL은 보수적인 업데이트를 추구하기 때문에 안정성은 있지만 기능 추가가 느리다는 평도 종종 듣죠.

호환성 문제

MariaDB는 초기에는 MySQL과 바이너리 레벨까지 완벽 호환이었지만,

버전이 올라갈수록 독자적인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이제는 일부 기능은 서로 호환되지 않기도 해요.

특히 저장 프로시저, 뷰, 권한 시스템 등에서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유지보수 주체와 커뮤니티

MySQL은 Oracle이라는 거대한 기업이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신뢰도가 높을 수 있어요.

반면 MariaDB는 MariaDB Foundation과 커뮤니티 개발자들이 함께 운영하며 오픈소스 철학을 지키는 데 집중합니다.

📊 주요 차이점 정리 테이블

비교 항목 MySQL MariaDB
라이선스 상업적, 일부 기능 유료 완전한 오픈소스
기능 추가 속도 느리지만 안정적 빠르고 적극적
호환성 일관성 유지 MySQL과 점점 차별화
운영 주체 Oracle MariaDB Foundation

결론적으로,

MySQL은 안정성과 기업 친화적인 DB, MariaDB는 개방성과 빠른 혁신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잘 맞는 선택이에요.

 

다음 섹션에서는 MariaDB가 실무에서 왜 점점 더 선택받고 있는지,

실제 이유들을 구체적으로 다뤄볼게요!

 

 

4. MariaDB를 선택하는 이유는? ✅

그렇다면 요즘 점점 더 많은 개발자들과 기업들이 MariaDB를 선택하는 이유는 뭘까요?

MySQL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자유롭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MariaDB는 여러 면에서 매력적인 대안이 되고 있어요.

완전한 오픈소스 철학

MariaDB는 커뮤니티 중심으로 운영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누구나 소스 코드를 볼 수 있고, 기능에 대한 제안을 하거나 직접 기여할 수도 있어요.

기업의 상업적 판단보다는 개발자와 사용자 중심의 피드백이 빠르게 반영된다는 장점이 있죠.

빠른 성능 최적화와 신기능 도입

MariaDB는 새로운 기능을 훨씬 더 빠르게 반영합니다.

특히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복잡한 쿼리를 사용할 때 더 나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parallel replication이나 window functions은 MariaDB에서 MySQL보다 훨씬 일찍 안정적으로 적용되었죠.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 지원

MySQL이 InnoDB 중심이라면,

MariaDB는 Aria, ColumnStore, MyRocks, Spider 등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을 제공합니다.

각각의 특성에 맞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업무 환경에서는 더 유연한 구조를 갖출 수 있어요.

기업에서도 주목하는 이유

처음에는 ‘그냥 오픈소스니까’ 쓰던 MariaDB, 요즘은 대기업과 정부 기관도 채택하고 있어요.

특히 Oracle의 라이선스 정책을 피하고자 하는 기업들 사이에서 선택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Red Hat, Wikipedia, Google Cloud 등에서도 MariaDB를 공식 지원하고 있답니다!

📌 MariaDB가 사랑받는 이유 요약

  • 오픈소스 철학에 충실한 투명한 개발 방식
  • 빠른 기능 업데이트와 혁신적인 기술 도입
  • 다양한 스토리지 엔진으로 특화된 사용 가능
  • 상업적 제한 없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

MariaDB는 단순한 대체재가 아닙니다.

이제는 독자적인 철학과 기능을 갖춘 강력한 RDBMS로 성장했어요.

 

그렇다면 실제 실무 환경에서 어떤 식으로 차이를 체감할 수 있는지, 다음 섹션에서 예제를 통해 확인해볼까요? 😎

 

 

5. 실무 예제: 같은 쿼리, 다른 결과 📊

MySQL과 MariaDB는 비슷한 SQL 문법을 공유하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동일한 쿼리를 사용했을 때 결과나 성능이 달라지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사례를 들어볼게요.

특히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서 MariaDB의 특장점이 드러나기도 하죠.

예제: 윈도우 함수 활용 비교

윈도우 함수(ROW_NUMBER(), RANK() 등)는 데이터를 그룹 단위로 분석할 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그런데 MySQL에서는 8.0 버전부터 공식 지원하기 시작했어요.

반면, MariaDB는 10.2부터 일찍 도입했죠.

SELECT name, department, salary,
       RANK() OVER (PARTITION BY department ORDER BY salary DESC) AS dept_rank
FROM employees;

이 쿼리는 부서별 급여 순위를 매기는 SQL인데요,

MariaDB에서는 10.2 이상이면 문제없이 작동하지만, MySQL 5.7 이하에서는 지원되지 않아 오류가 발생합니다.

예제: JSON 함수 처리 차이

MySQL은 JSON 처리 기능이 꽤 강력하게 구현되어 있습니다.

JSON_EXTRACT(), JSON_ARRAYAGG() 등 다양한 함수를 통해 JSON 형태의 데이터를 쉽게 다룰 수 있죠.

MariaDB도 JSON 데이터를 문자열로 저장할 수 있지만, MySQL만큼 내장 함수가 풍부하진 않아요.

⚙️ 실무 비교 요약

항목 MySQL MariaDB
윈도우 함수 지원 8.0부터 10.2부터
JSON 내장 기능 다양한 함수 지원 기본 JSON 타입은 문자열
스케일링 지원 샤딩 및 레플리카 수동 구성 Spider 엔진으로 수평 분산 지원

실무에서는 단순히 명령어가 같다고 끝나는 게 아니죠.

프로젝트에 따라 성능, 지원 기능, 확장성 모두 고려해야 해요.

그리고 때로는 MariaDB가 훨씬 유연하고 강력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다음 섹션에서는 이런 비교들을 바탕으로 초보자라면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친절하게 정리해드릴게요!

 

 

6. 초보자를 위한 선택 가이드 🔍

자, 이제 마무리할 시간이에요 😊

지금까지 MySQL과 MariaDB의 배경, 공통점, 차이점, 실무 예제까지 꽤 많은 걸 알아봤죠.

초보자 입장에서 “도대체 뭘 써야 하지?” 고민이 드는 건 너무 당연한 일이에요.

그래서 이번 마지막 섹션에서는 선택 가이드를 상황별로 쉽게 정리해볼게요!

초보자 상황별 추천 기준 🎯

상황 추천 DB 이유
리눅스 환경에서 간단한 웹 서비스 연습 MariaDB 기본 설치 포함, 리소스 적고 오픈소스 지원 활발
기업 프로젝트, 상업용 솔루션 연동 MySQL 상용 제품과의 호환성, Oracle 공식 지원
데이터 분석, 성능 튜닝 중심 개발 MariaDB 윈도우 함수, 병렬 쿼리 등 최신 기능 활용
JSON, NoSQL 유사 기능 사용 MySQL 강력한 JSON 내장 함수 지원

🎁 마무리하며

MySQL과 MariaDB, 어느 쪽을 선택해도 큰 실수는 아닙니다.

하지만 프로젝트의 성격, 요구사항, 환경에 따라 분명히 더 적합한 선택지가 존재하죠.

MariaDB는 커뮤니티 중심의 유연한 선택, MySQL은 상용 시스템과의 안정적인 통합이라는 성격이 분명하니까요.

 

기억하세요!

지금은 연습 단계일 뿐. 중요한 건 학습의 흐름이고, 그 기반을 튼튼하게 다져두는 거예요 💪

여러분의 첫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 어떤 선택이든 경험이 쌓이면 더 나은 판단이 따라오니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