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GitHub 사용할 때 필수 리눅스 기본 명령어 🚀
Git & GitHub 사용할 때 필수 리눅스 기본 명령어 🚀
"Git과 GitHub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를 알아야 합니다.
리눅스 명령어에 익숙하지 않다면, 파일 탐색부터 디렉터리 이동, 터미널 관리까지 필수적인 명령어를 익혀두세요!
이번 가이드에서는 Git 사용 시 꼭 필요한 리눅스 기본 명령어와 실전 예제를 단계별로 설명해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여러분!
Git과 GitHub를 사용하면서 터미널(명령줄, CLI) 을 자주 만나게 되셨나요?
처음 접하는 분들은 이런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 "파일을 어떻게 찾지?"
❓ "디렉터리를 이동하는 방법은?"
❓ "터미널에서 직접 파일을 만들거나 삭제할 수 있을까?"
Git과 GitHub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리눅스 기본 명령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Git 사용 시 꼭 필요한 리눅스 명령어를 실제 예제와 함께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 목차
1. 현재 디렉터리 확인 (pwd) 📂
Git을 사용할 때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가 어디인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눅스에서는 pwd (print working directory)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wd
/home/user/my_project
위 결과처럼 절대 경로(absolute path)가 출력됩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작업 중인 디렉터리의 전체 경로를 알 수 있습니다.
2.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 확인 (ls) 📑
디렉터리 내 파일과 폴더를 확인하려면 ls (lis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과 폴더 목록이 표시됩니다.
$ ls
Documents Downloads Pictures my_project
옵션을 추가하면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옵션📌 설명💡 예제
-l | 파일의 상세 정보(권한, 크기 등)를 표시 | ls -l |
-a | 숨김 파일까지 모두 표시 | ls -a |
-lh | 파일 크기를 사람이 읽기 쉽게 표시 | ls -lh |
3. 터미널 창 내용 지우기 (clear) 🧹
터미널에서 많은 명령어를 입력하다 보면 화면이 지저분해질 수 있습니다.
이럴 때 clear 명령어를 사용하면 기존의 터미널 내용을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 clear
이 명령어는 기존 내용이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화면을 아래로 밀어 새로운 입력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정리합니다.
혹시 이전 명령어를 다시 보고 싶다면, 키보드에서 ↑(위 방향키)를 눌러 명령어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4. 디렉터리 이동 (cd) 🚀
Git을 사용할 때 프로젝트 폴더 안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cd (change directory)입니다.
$ cd my_project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디렉터리가 'my_project' 폴더로 변경됩니다.
다른 디렉터리로 이동할 때 상대 경로와 절대 경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경로 유형💡 설명🔹 예제
상대 경로 |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 | cd ../ (상위 폴더로 이동) |
절대 경로 | 파일 시스템의 최상위(root)부터 이동 | cd /home/user/my_project |
5. 디렉터리 생성 및 삭제 (mkdir, rmdir) 📁
프로젝트를 만들 때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거나 필요 없는 폴더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에서는 mkdir (make directory) 명령어로 폴더를 생성하고, rmdir (remove directory) 명령어로 비어 있는 폴더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새 폴더 만들기
$ mkdir new_project
# 여러 개의 하위 폴더 한 번에 만들기
$ mkdir -p parent/child/grandchild
# 폴더 삭제 (비어 있는 경우만 가능)
$ rmdir new_project
폴더 안에 파일이 있는 경우 rmdir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때는 rm -r 명령어를 사용하여 강제로 삭제해야 합니다.
# 폴더와 내부 파일 모두 삭제
$ rm -r parent
6. 터미널 종료 (exit) 🔚
터미널을 닫고 싶다면 exit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 exit
또는, 단축키 Ctrl + D를 누르면 터미널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7. 텍스트 문서 생성 (touch, echo) 📝
Git을 사용할 때 README.md, 설정 파일,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눅스에서는 touch 또는 echo 명령어를 사용하여 새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빈 파일 생성
$ touch newfile.txt
# 파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생성하고, 존재하면 수정 시간을 갱신
$ touch my_script.sh
#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내용 추가
$ echo "Hello, Git!" > hello.txt
touch 명령어는 빈 파일을 만들거나 파일의 수정 시간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echo 명령어는 텍스트를 입력하여 파일을 생성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
# 기존 파일에 내용 추가 (기존 내용 유지)
$ echo "추가된 내용" >> hello.txt
>는 기존 내용을 덮어쓰고, >>는 기존 내용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합니다.
8. 텍스트 문서 확인 (cat, less, tail, head) 📖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려면 여러 가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는 cat, less, tail, head입니다.
📌 명령어💡 설명🔹 예제
cat | 파일 내용을 출력 | cat hello.txt |
less | 스크롤하며 파일 읽기 | less longfile.txt |
tail | 파일의 마지막 10줄 출력 | tail log.txt |
head | 파일의 처음 10줄 출력 | head config.txt |
# cat 사용 예제
$ cat my_script.sh
# less 사용 예제 (스크롤 가능)
$ less bigfile.txt
# tail 사용 예제 (마지막 10줄 출력)
$ tail error.log
# head 사용 예제 (처음 10줄 출력)
$ head settings.conf
less는 스크롤이 가능하여 긴 파일을 볼 때 유용합니다. tail은 로그 파일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 마무리: Git & GitHub 활용을 위한 리눅스 기본 명령어 익히기 🚀
Git과 GitHub를 사용할 때 필수적인 리눅스 기본 명령어를 익혀보았습니다.
이제 터미널에서 디렉터리를 탐색하고, 파일을 생성·삭제하며,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 현재 위치 확인 → pwd
✔️ 디렉터리 내용 확인 → ls
✔️ 디렉터리 이동 → cd
✔️ 새 디렉터리 생성 → mkdir
✔️ 파일 생성 및 수정 → touch, echo
✔️ 파일 내용 확인 → cat, less, tail, head
Git을 더 잘 활용하려면 리눅스 명령어를 지속적으로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자주 사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익숙해질 거예요. 😊
- 리눅스 환경에서 직접 실습해보기 – 한 번 실행해 보면 기억에 더 오래 남아요!
- Git 프로젝트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 익히기 – 실전에서 활용하면 더 빠르게 습득할 수 있어요.
- 자동화 및 스크립트 작성에도 도전해보기 – 반복적인 작업을 줄일 수 있어요!
이제 Git과 GitHub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