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MCP로 만드는 자동화 에이전트:
Python으로 똑똑하게 작업 자동화하기

Python으로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고 싶다면?
MCP(Multion Control Protocol) 기반 에이전트가 그 해답일 수 있어요!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핫한 MCP 기반의 에이전트 개발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복잡하고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화해주는 AI 에이전트, 직접 만들어보면 얼마나 간편한지 아실 수 있을 거예요. 특히 최근에 공개된 Python 예제 코드 덕분에 누구나 쉽게 따라 해볼 수 있거든요. 저도 테스트해봤는데,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졌지만 한 번 구조를 이해하니까 오히려 흥미롭더라고요! MCP의 개념부터 실제 코드 구현까지, 블로그에서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1. MCP란 무엇인가요? 🤖

MCP(Multion Control Protocol)는 일종의 AI 에이전트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이 MCP는 여러 개의 사용자 입력을 받아 실행 가능한 명령으로 바꾸고, 그 명령을 다양한 실행 도구(브라우저, 앱 등)에 전달해 자동화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예요. 쉽게 말하면, “AI에게 시키는 일”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게 해주는 중간 관리자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돼요.

MCP의 핵심 역할은 무엇일까요?

  • 자동화 요청 변환: 사용자의 요청을 구조화된 명령어로 전환해요.
  • 외부 서비스와 연동: 브라우저 자동화, 앱 컨트롤, API 호출 등에 사용돼요.
  • 명령 흐름 제어: 작업 순서를 관리하고 상태를 추적합니다.

왜 MCP가 요즘 주목받을까요?

ChatGPT 같은 LLM 기반 에이전트가 문장을 분석하고 생성하는 데 능숙하긴 하지만, 현실 세계의 앱을 실행하거나 파일을 조작하고, API를 호출하는 작업은 여전히 별도의 실행 계층이 필요합니다. MCP는 이러한 실행 계층을 체계화해 자연어 → 행동 명령의 전환을 자동화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또한, 사용자는 MCP를 활용해 에이전트가 단순히 말만 하지 않고 진짜 행동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되죠. 예를 들어, 브라우저를 열고 검색하고 결과를 복사해서 메모장에 붙여넣는 일련의 행동들을 자동화할 수 있어요. 이게 바로 요즘 사람들이 에이전트를 “도우미”나 “비서”라고 부르는 이유죠.

MCP가 가능한 작업 예시

유형 설명
브라우저 자동화 웹페이지 열기, 검색 실행, 특정 요소 클릭 등
파일 관리 디렉토리 생성, 파일 복사/이동, 삭제
API 호출 외부 REST API와 연결해 데이터 주고받기
앱 제어 슬랙 메시지 전송, 메일 발송, 노션 페이지 수정 등

이처럼 MCP는 단순한 스크립트 이상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해요. 특히 Python 기반으로 짜여 있어서 누구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는 점도 엄청난 장점이죠!

2. 개발 환경 세팅하기 🛠️

자, MCP 에이전트를 만들기 위해선 먼저 기본적인 개발 환경을 깔끔하게 세팅해야겠죠? 다행히도 복잡하지 않아요. Python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가볍게 시작할 수 있어요. 아래 단계대로 차근차근 따라오세요!

Python 환경 준비하기

  1. Python 3.10 이상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2. 가상 환경(Virtualenv)을 만들고 진입합니다:
python -m venv venv
source venv/bin/activate  # Windows의 경우 venv\Scripts\activate

필수 패키지 설치하기

아래와 같이 MCP 클라이언트 및 실행에 필요한 모듈을 설치해줍니다. pip 하나로 깔끔하게 끝낼 수 있어요.

pip install multion

혹시 pip가 작동하지 않거나 최신 버전이 아닌가요?

걱정 마세요! 아래 명령어로 pip도 최신으로 업그레이드 해두면 안전합니다:

python -m pip install --upgrade pip

Multion API Key 발급 받기

MCP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Multion API 키가 필요해요. 공식 홈페이지(multion.ai)에서 가입 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 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합니다.
  • 대시보드에서 API 키를 생성합니다.

API 키는 코드에서 환경 변수 또는 직접 문자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보안상 노출되지 않게 관리하는 것도 잊지 마세요!

이제 준비 완료! 다음 섹션에서는 실제로 예제 코드를 실행하고 분석해보며 MCP 에이전트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해볼게요.

3. 예제 코드 분석하기 🔍

이제 본격적으로 MCP 에이전트 예제 코드를 살펴볼 시간입니다. 이 코드는 Multion API를 활용해 사용자의 명령을 처리하고, 그에 맞는 실행 결과를 반환하는 간단한 클라이언트를 구현하고 있어요. 전체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MCP 클라이언트 전체 코드

from multion import Multion

multion = Multion(api_key="YOUR_API_KEY")

# create a session
session = multion.create_session("book a flight from NYC to SF")
print("Created session", session)

# step through the session
while not session["done"]:
    session = multion.step(session["id"])
    print("Step", session["steps"][-1])

코드 구성 요소 간단 정리

구문 설명
Multion(api_key=...) Multion 클라이언트를 초기화합니다. API 키를 반드시 입력해야 해요.
create_session(prompt) 명령 프롬프트를 기반으로 세션을 생성합니다. 이 예제에선 “뉴욕에서 샌프란시스코로 가는 항공편 예약하기”가 그 예예요.
step(session_id) 세션 ID를 기준으로 작업을 한 단계씩 수행합니다. 자동으로 상태가 업데이트돼요.
session["steps"][-1] 최근 실행된 단계를 출력해서 현재 진행 상황을 추적할 수 있어요.

실행 결과는 어떻게 나올까?

예제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프롬프트가 "book a flight from NYC to SF"인 상황이에요. 실행하면 브라우저가 열리고 자동으로 검색 및 예약 사이트에 접속한 뒤, 다양한 단계를 순서대로 진행하게 됩니다. 브라우저 자동화 + 대화형 수행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점에서 매우 강력한 방식이에요.

실행 시 주의사항

  • 실행 환경에서 브라우저 자동 제어가 허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 크롬 실행 권한).
  • 생성된 세션은 상태가 계속 업데이트되므로, 반드시 session["done"]을 체크하며 루프를 돌려야 해요.

이 코드는 단순하지만 매우 강력한 MCP의 핵심 사용 방식을 담고 있어요. 다음 단계에서는 이 구조가 어떻게 더 확장 가능한지, 어떤 식으로 모듈화돼 있는지 살펴보도록 할게요!

4. MCP 에이전트 구조 이해하기 🧩

앞에서 MCP 예제 코드를 실행해봤다면, 이제는 그 내부 구조를 이해할 차례예요. MCP 에이전트는 단순히 한 번 명령을 수행하고 끝나는 게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을 기반으로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예요. 즉, 일종의 "상태 기반 인터랙티브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죠.

MCP 에이전트 구조 요약

  • Multion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요청을 MCP 서버에 전달하고 세션을 생성합니다.
  • 세션 객체: 에이전트가 수행 중인 작업의 상태, 실행 단계, 완료 여부 등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step 메서드: 매번 실행할 때마다 한 단계씩 브라우저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결과를 업데이트합니다.

흐름도 관점에서 본 MCP

MCP 에이전트는 다음과 같은 루프 기반의 흐름을 가지고 있어요.

  1. 사용자의 자연어 입력을 통해 세션 생성
  2. 세션 ID 기반으로 반복적 step 실행
  3. 각 step마다 결과를 받아 브라우저 동작 또는 API 호출 등 수행
  4. session["done"]이 True가 될 때까지 반복

세션 객체 구조 예시

{
  "id": "session-12345",
  "steps": [
    {"type": "search", "description": "Open travel site"},
    {"type": "input", "description": "Enter NYC to SF"},
    {"type": "click", "description": "Select flight"}
  ],
  "done": false
}

이처럼 각 step은 무엇을 수행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session 객체가 전체 흐름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런 구조 덕분에 중단 이후에도 재실행이 가능하고, 다양한 자동화 워크플로우를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어요.

확장 가능한 설계 구조

Multion API는 단순히 텍스트만 처리하는 게 아니라, 브라우저 조작, API 호출, 이메일 전송, 슬랙 메시지 작성 등 실제 액션을 수행하게 설계돼 있어요. 이런 점에서 MCP는 단순한 챗봇이나 LLM 출력과는 완전히 다른 수준의 자동화를 제공합니다.

이제 구조를 이해했으니, 다음 단계에서는 이 구조를 기반으로 직접 나만의 커스텀 에이전트를 만들어볼 수 있어요. 그럼 같이 다음 단계로 가볼까요?

5. 나만의 에이전트 커스터마이징하기 🎨

MCP 구조를 이해했다면, 이제 직접 나만의 에이전트를 만들어보고 싶어지지 않으세요? 예제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실무나 개인 프로젝트에서는 특정 목적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는 능력이 훨씬 중요하거든요.

Step 1: 명령 프롬프트 다양화

예제에선 “book a flight from NYC to SF”라는 프롬프트 하나만 사용했지만, 다양한 프롬프트로 실험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작업이 가능합니다.

  • send an email to my team about today’s meeting
  • create a Google Sheet to track expenses
  • find best-rated sushi restaurants in Tokyo

프롬프트가 다양해질수록 에이전트는 더 복잡한 브라우저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그 과정을 지켜보는 것도 흥미진진해요!

Step 2: 출력 형식 다듬기

기본적으로 MCP는 실행된 step을 출력하지만, 실제 서비스에선 보기 좋은 출력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JSON 파일로 저장하거나 Slack 메시지로 포맷팅하는 등의 출력 후처리를 넣어보세요.

import json

# 마지막 step만 따로 저장
last_step = session["steps"][-1]
with open("result.json", "w") as f:
    json.dump(last_step, f, indent=2)

Step 3: 자동화 반복 루틴 만들기

예를 들어 매일 아침 날씨 정보를 가져오고, 메일로 전송하는 루틴도 만들 수 있어요. MCP는 명령 기반이라 자동 스케줄링과도 찰떡궁합이죠. schedule 라이브러리나 cron과 연동하면 매일 자동 실행도 가능하답니다.

커스터마이징의 핵심 포인트

요소 커스터마이징 포인트
입력 프롬프트 목적에 맞는 구체적인 명령어를 다양하게 설계
출력 포맷 콘솔 외에 파일 저장, 슬랙/메일로 전달 등 추가 작업 가능
자동화 스케줄 정기 루틴 자동 실행 및 스케줄링 연동 가능

이제 여러분도 MCP 기반의 자동화 에이전트를 여러분 스타일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 에이전트를 어디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팁과 시나리오를 소개할게요!

6. 실제 활용 시나리오 및 팁 💡

자, 이제 MCP 기반 에이전트를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살펴볼까요? 생각보다 훨씬 더 다양한 곳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 단순히 브라우저 자동화가 아니라, 진짜 디지털 업무 자동화 비서처럼 활용 가능하답니다.

📌 활용 시나리오 TOP 5

  1. 이메일 자동화: 고객이나 팀원에게 매일 정해진 이메일 전송
  2. 데이터 수집: 특정 키워드로 뉴스/블로그 검색 후 정보 요약
  3. 브라우저 테스트: QA 엔지니어를 위한 자동 UI 테스트 시나리오 실행
  4. 일정 예약: Google Calendar를 열고 회의 일정 자동 등록
  5. SNS 운영: Twitter나 Threads에 자동 글쓰기 및 이미지 업로드

⚒️ 에이전트 활용 팁

  • 프롬프트 설계는 구체적으로: "회의 일정 만들기"보다는 "7월 1일 오전 10시에 A와 회의 만들기"처럼 구체적으로 쓸수록 정확도가 높아져요.
  • 오류 상황 대비: MCP가 중간에 실패할 수 있으니 try-except 구문과 로그 출력은 필수예요.
  • API 키 보호: 절대 코드에 하드코딩하지 말고 .env 파일을 쓰세요!

💬 실제 사용자 후기

“매일 아침 뉴욕타임즈에서 오늘의 주요 기사 5개를 수집해서 Slack으로 전송하는 루틴을 만들었어요. 이제 하루가 더 편해졌습니다!”

이처럼 MCP 기반 에이전트는 ‘자동화’ 그 이상을 가능하게 합니다. 명령어 하나만으로, 반복적인 작업이 사라지는 세상. 정말 멋지지 않나요?

이제 마지막으로, 오늘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고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확장할 수 있을지도 함께 고민해볼게요.

마무리 🧠

지금까지 MCP(Multion Control Protocol)를 이용한 에이전트 구현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봤습니다. 처음엔 단순한 브라우저 자동화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입력에 따라 상황을 판단하고 동작을 이어가는 지능형 업무 도우미에 가까웠죠.

우리는 예제 코드를 통해 구조를 이해하고, 그 구조를 커스터마이징하여 나만의 자동화 루틴을 만들 수 있었습니다. 특히 반복적인 작업을 줄이고, 일상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 가능성은 정말 무궁무진해요. Slack, Google, Notion, 이메일, 쇼핑, 캘린더 예약 등… 상상해보세요. 여러분만의 에이전트가 여러분 대신 일해주는 미래를요!

마지막으로 하나 팁을 드리자면, 이런 자동화 도구는 “처음에 한번 셋업해두면, 이후엔 손 안 대고도 계속 돌아간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초기 학습에만 조금 투자하면, 이후의 시간은 여러분의 것이에요.

다음에는 이 MCP 기반 에이전트를 서버에 배포하고, 웹에서 사용자와 인터랙션하는 형태로까지 발전시켜볼 계획이에요. 관심 있다면 다음 포스팅도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RAG 구현 : 예제로 배우는 검색 기반 생성 AI의 모든 것

단순히 질문을 던지고 답을 받는 시대는 끝났습니다.
이제는 정보를 ‘찾고’, ‘이해하고’, ‘생성’하는 시대입니다.
그 중심엔 바로 RAG가 있어요.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요즘 챗봇, AI 비서, 검색형 AI에 관심 많으시죠? 그런데 뭔가 똑똑해 보이면서도, 대답이 엉뚱한 경우 꽤 있지 않으셨나요?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이 꼭 알아야 할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려 해요. 특히 검색 + 생성이라는 이 강력한 조합을 직접 구현해볼 수 있는 실제 예제 코드도 함께 소개할게요. 어렵게만 느껴졌던 AI 기술, 이제는 우리도 직접 해볼 수 있습니다. 오늘 이 블로그를 끝까지 읽으면, 여러분도 RAG로 멋진 AI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게 될 거예요.

1. RAG란 무엇인가요? 🤖

RAG는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의 줄임말이에요. 한글로 풀면 ‘검색 기반 생성’이란 뜻인데요, 쉽게 말하면

"답을 생성하기 전에 관련 정보를 먼저 찾아보는 AI"

방식이에요.

기존의 GPT나 LLM 기반 챗봇은 한 번 학습된 데이터만 가지고 답을 만들어내요. 즉, 정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최신 정보나 특정 기업 내부 데이터 같은 건 잘 모를 수 있죠. 하지만 RAG는 다릅니다.

RAG의 핵심 구성 요소는 두 가지

  • Retriever: 사용자의 질문에 맞는 정보를 외부 문서에서 검색해 오는 역할이에요.
  • Generator: 검색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문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해요.

그럼 어떻게 동작하느냐면요!

  1. 1️⃣ 사용자가 질문을 입력해요.
  2. 2️⃣ Retriever가 관련 문서를 찾고,
  3. 3️⃣ Generator가 이 정보를 바탕으로 답변을 생성하죠.

예를 들어 "우리 회사 규정 중에서 연차 관련 내용을 알려줘"라는 질문을 하면, 단순한 챗봇은 엉뚱한 얘기를 할 수 있지만, RAG 기반 시스템은 실제 사내 문서를 검색해서 실제 규정을 기반으로 정확한 답변을 줍니다. 이게 바로 RAG의 힘이죠.

비슷한 기술과의 차이점은?

구분 일반 LLM RAG
데이터 기반 학습된 데이터만 활용 외부 문서 검색 후 활용
정보 업데이트 정적 동적
적합한 사용 사례 일반적인 문장 생성 기업 내부지식 QA, 법률, 논문 등

이제 감이 좀 오시죠? 다음 섹션에서는 왜 RAG가 각광받고 있는지, 그리고 어떤 실전적인 강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왜 RAG가 중요한가요? 🌍

RAG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을 넘어서, 신뢰할 수 있는 정보 기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LLM 단독 모델은 종종 ‘환각(hallucination)’ 문제를 일으켜, 존재하지 않는 정보를 진짜처럼 말하곤 하죠. RAG는 이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줍니다.

📌 RAG의 실전적 장점 5가지

  • 1. 최신 정보 반영 가능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문서를 검색해 답변을 생성하기 때문에 최신 정보에도 강해요.
  • 2. 내부 데이터 기반 QA 가능
    사내 문서, 논문, 정책 등 기업 맞춤형 정보 기반 응답이 가능합니다.
  • 3. 환각 문제 최소화
    모델이 아는 척하기보다는 문서를 직접 참고해서 정답을 추론하기 때문에 오류율이 낮아져요.
  • 4. 투명한 출처 제공
    답변에 사용된 문서를 함께 보여줄 수 있어 사용자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요.
  • 5. 오픈소스 생태계와의 궁합
    다양한 툴들과 쉽게 연동되며, Hugging Face, LangChain, Chroma 등과 함께 쓰기 좋아요.

그래서 어디에 쓰냐고요?

활용 분야 적용 사례
기업 고객지원 사내 정책 문서를 기반으로 자동 답변 시스템 구축
의료 분야 환자 기록 기반 맞춤형 정보 제공
교육 및 연구 논문 검색 + 요약 + 생성형 답변
법률 분석 판례 검색 + 변호사 질의 응답

이처럼 RAG는 단순한 기술 트렌드를 넘어, 지금 우리가 필요한 AI의 모습에 가장 가까운 구조예요. 다음 장에서는 이 놀라운 기술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아키텍처를 살펴볼게요!

3. RAG의 아키텍처를 살펴보자 🧱

RAG의 동작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려면 구조를 알아야 해요. 단순히 “검색하고 답을 만든다”가 아니라, 각 모듈이 어떤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알아야 직접 구현도 할 수 있거든요.

🔧 핵심 구성 요소

컴포넌트 설명
질문 (Query)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
Retriever 질문과 관련된 문서를 벡터 DB에서 검색
Documents 검색된 텍스트 조각들
Generator (LLM) 문서와 질문을 함께 입력받아 응답 생성
응답 (Answer) 최종 출력되는 자연어 기반 답변

간단히 요약하면 이렇게 돌아갑니다 👇

  1. 1️⃣ 질문을 입력하면,
  2. 2️⃣ Retriever가 벡터 데이터베이스에서 유사한 문서들을 검색해요.
  3. 3️⃣ Generator가 질문 + 검색된 문서를 조합해서 정답을 생성하죠.

벡터 DB가 핵심인 이유

이 구조에서 벡터 데이터베이스는 정말 핵심이에요. 문서를 미리 벡터화해서 저장해두고, 질문을 벡터로 바꿔서 가장 비슷한 문서를 검색하니까요. 여기서 많이 쓰는 도구가 바로 FAISS, Chroma, Weaviate 같은 벡터 DB입니다.

📎 전체 프로세스 시각화

정리하면 아래와 같은 플로우가 됩니다.

  1. 📥 사용자 질문 입력 →
  2. 📚 관련 문서 검색 (Retriever) →
  3. 🧠 문서 + 질문 조합 →
  4. ✍️ 응답 생성 (Generator, LLM)

이제 구조도 이해했으니, 다음 섹션에서는 실제 코드로 직접 RAG를 구현해볼 거예요. 진짜 재미있는 부분이니까 기대해주세요!

4. 직접 해보는 RAG 구현 예제 💻

지금부터는 실제로 RAG 시스템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코드와 함께 살펴볼 거예요. 너무 어렵게 느껴지셨다면 걱정 마세요! 이 예제는 LangChain + ChromaDB + HuggingFace Transformers를 사용해서 간단히 구성한 것이니까, 그대로 따라 하기만 해도 RAG의 핵심을 이해할 수 있어요.

📦 1. 필수 라이브러리 설치

pip install langchain chromadb huggingface_hub sentence-transformers transformers

간단하죠? 이렇게만 설치하면 RAG 구현에 필요한 기본 도구들은 준비 끝입니다.

📝 2. 문서 로딩 및 임베딩 저장

from langchain.document_loaders import TextLoader
from langchain.vectorstores import Chroma
from langchain.embeddings import HuggingFaceEmbeddings
from langchain.text_splitter import CharacterTextSplitter

loader = TextLoader("./data.txt")
documents = loader.load()

text_splitter = CharacterTextSplitter(chunk_size=500, chunk_overlap=0)
docs = text_splitter.split_documents(documents)

embedding = HuggingFaceEmbeddings(model_name="sentence-transformers/all-MiniLM-L6-v2")

db = Chroma.from_documents(docs, embedding, persist_directory="./chroma_db")
db.persist()

여기서 중요한 건 텍스트를 잘게 나누고 벡터화한 뒤, ChromaDB에 저장하는 부분이에요. 이후 Retriever는 이 DB를 검색하게 됩니다.

🧠 3. RAG QA 체인 구성

from langchain.llms import HuggingFaceHub
from langchain.chains import RetrievalQA

retriever = db.as_retriever()

llm = HuggingFaceHub(repo_id="google/flan-t5-large", model_kwargs={"temperature": 0.5, "max_length": 512})

qa = RetrievalQA.from_chain_type(
    llm=llm,
    chain_type="stuff",
    retriever=retriever,
    return_source_documents=True
)

query = "파이썬에서 리스트와 튜플의 차이점은?"
result = qa({"query": query})

print(result["result"])

짜잔! 이제 여러분의 질문에 맞춰 문서를 검색하고, 그 내용에 기반해서 LLM이 자연어로 답변을 생성해줍니다. 바로 이게 RAG 시스템이에요.

📌 완성된 구조 요약

  • 문서 불러오기 → 문서 쪼개기 → 벡터 저장 (Chroma)
  • 질문 입력 → 유사 문서 검색 → 답변 생성 (LLM)

이렇게 간단한 코드 몇 줄만으로도 RAG 시스템을 만들어볼 수 있다는 거, 놀랍지 않으신가요? 다음 섹션에서는 이 구현 중에 생길 수 있는 오류들과 그 해결법을 알려드릴게요!

5. 구현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와 해결법 🛠️

RAG를 구현하다 보면 에러 메시지와의 전쟁이 시작됩니다. 😅 특히 처음 LangChain과 Chroma를 다뤄보는 분들이라면, 자주 마주치는 문제들이 있어요. 여기 그 주요 이슈와 해결 방법들을 정리해드릴게요.

🚫 문제 1. 'No module named ...'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langchain'

라이브러리가 설치되지 않았을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오류입니다. pip install로 빠르게 설치해주세요.

📦 해결:

pip install langchain chromadb

⚠️ 문제 2. 'ValueError: Could not create embedder'

이건 HuggingFaceEmbeddings 사용 시, 모델 이름을 잘못 넣거나 토크나이저 다운로드가 실패했을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 해결:

  • 모델명을 정확히 입력: "sentence-transformers/all-MiniLM-L6-v2"
  • huggingface-cli 로그인 필요 시, huggingface-cli login 실행

🧨 문제 3. 'PermissionError: [Errno 13] ... chroma_db'

ChromaDB 디렉토리에 쓰기 권한이 없거나 경로가 잘못되었을 때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 해결:

sudo chmod -R 777 ./chroma_db

임시 권한 부여로 해결은 되지만, 실제 서비스에서는 보안 설정을 꼭 고려해 주세요!

✅ 기타 팁

  • Python 버전: 3.10 이상 추천
  • LangChain: 최신 버전 사용 권장 → 자주 API 변경됨

자, 이제 RAG를 구축하면서 마주칠 수 있는 주요 오류들을 해결하는 방법까지 알게 되었어요. 다음은 RAG 시스템을 더 똑똑하게 만들기 위한 확장 전략과 실전 팁을 공유할게요!

6. 실전 팁과 확장 아이디어 🌱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RAG 시스템의 기본 구현은 이미 완성하신 거예요! 그런데 여기서 멈추면... 너무 아쉽잖아요? 😎 이제는 더 똑똑하고 유용한 RAG 시스템으로 발전시켜볼 시간입니다.

🚀 실전에서 RAG를 더 잘 쓰는 방법

  • 문서 전처리를 철저하게!
    HTML, PDF, 이미지 OCR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정제해서 벡터화하면 훨씬 정확한 답변이 가능해져요.
  • 검색 결과 필터링을 적용해보세요.
    불필요한 정보가 포함되면 생성된 답변도 혼란스러워질 수 있어요.
  • 출처 문서 함께 출력하기!
    사용자 입장에서는 “답변은 맞는 말인가?”보단 “어디서 나왔는가?”가 더 중요할 수 있어요.

🔧 확장 아이디어 TOP 5

  1. 🔐 사용자별 개인화된 RAG: 각 유저의 데이터만 검색하도록 세션 기반 설정
  2. 🌍 다국어 RAG 시스템: multilingual 모델을 사용해 전 세계 언어 지원
  3. 📁 PDF / Word 문서 업로드 기능: 웹 기반 UI에서 문서 업로드 → 자동 인덱싱
  4. 📊 시각화된 답변 결과: 차트, 테이블 형태의 응답을 LLM이 생성하게 유도
  5. 🧠 Feedback 기반 강화 학습: 사용자가 답변 품질에 별점 주면 다음 답변 개선에 반영

📚 추천 오픈소스 조합

목적 추천 도구
문서 임베딩 sentence-transformers / instructor-xl
벡터 DB Chroma, FAISS, Weaviate
LLM OpenAI GPT, HuggingFace FLAN, Mistral
프레임워크 LangChain, LlamaIndex

이제 RAG 구현은 물론, 어떻게 활용하고 확장까지 해야 하는지도 감이 오시죠? 마지막으로 이 내용을 정리하면서 실전 적용을 위한 인사이트를 전달드릴게요!

마무리하며: RAG는 단순한 기술이 아닌 시대의 흐름입니다 🌐

이제 여러분은 단순히 텍스트를 생성하는 AI를 넘어, 검색을 통해 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대답하는 RAG 시스템을 직접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어요.

사실 저도 처음엔 "이게 뭐 그렇게 특별할까?"라고 생각했지만, 직접 구현해보면서 느꼈어요. RAG는 단순히 AI 기술 중 하나가 아니라, AI가 현실에 더 가까워지는 구조적 진화라는 걸요.

어떤 질문에도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기반으로 답해줄 수 있다면, 그건 단순한 챗봇이 아니라 진짜 도우미이자 지식 파트너가 될 수 있겠죠. 앞으로 여러분의 프로젝트에서, 그리고 우리 일상에서 RAG가 멋지게 활약하길 응원합니다! 🙌

반응형
반응형

LangChain 이용한 기본 AI Agent 구현

요즘 AI Agent라는 말, 자주 들리시죠?
그런데 도대체 이걸 어떻게 직접 만들어볼 수 있을까요?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가장 핫한 AI 프레임워크 중 하나인 LangChain을 활용해서, 아주 간단한 기본 AI 에이전트를 구현해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GPT 같은 대형 언어 모델을 직접 써보는 건 어렵지 않은데, 이걸 진짜 '에이전트'처럼 유저의 요청에 맞춰 행동하게 만드는 건 또 다른 이야기죠.

이번 글에서는 공식 예제를 따라가면서, 프롬프트 템플릿 구성부터 에이전트 실행까지의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드릴게요. LangChain이 제공하는 간단한 도구들을 이해하고 나면, 나만의 에이전트를 구성하는 게 한결 쉬워질 거예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

1. LangChain Agent란 무엇인가요? 🤖

AI 에이전트(Agent)라는 말을 들으면, 뭐가 먼저 떠오르시나요? 챗봇? Siri? 아니면 로봇? 😄 LangChain에서는 에이전트(Agent)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양한 도구(tool)를 스스로 선택하고 조합해서 답변하는 실행 주체’로 정의합니다. 즉, 단순히 응답만 하는 게 아니라 도구를 사용하고 결정을 내리는 능동적인 존재예요.

LangChain은 다양한 형태의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로, 특히 GPT 계열 LLM을 기반으로 에이전트를 구성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제공합니다. 아래는 LangChain 공식 문서에서도 소개하는 핵심 특징이에요.

  • LLM 기반: GPT 같은 언어 모델을 중심으로 작동합니다.
  • Tool 사용 가능: 계산기, 검색기능, DB 조회 등 다양한 도구와 연결할 수 있어요.
  • 프롬프트 기반 계획: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도구를 어떻게 사용할지 계획을 세우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요.

LangChain Agent는 언제 유용할까?

예를 들어볼게요. 사용자가 “서울의 현재 날씨를 알려주고, 내일 오전까지의 날씨 예측을 분석해 줘”라고 요청한다고 해봅시다. 단순한 챗봇이라면 바로 정보를 줄 수 없지만, LangChain Agent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스스로 계획합니다.

  1. Step 1: 현재 날씨 API 호출 (예: OpenWeather 사용)
  2. Step 2: 내일 오전 예측값 수집
  3. Step 3: 두 데이터를 분석하고 요약

즉, 사용자의 질문 하나에 대해 도구 호출 → 정보 수집 → 분석 → 응답까지 전 과정을 스스로 진행하는 것이 바로 LangChain Agent의 강점이에요.

정리하자면...

  • LangChain Agent는 복잡한 문제 해결을 자동으로 계획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 GPT 등의 LLM을 기반으로 다양한 도구와 함께 사용됩니다.
  • 대화형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실시간 판단을 내립니다.

2. LangChain Agent의 핵심 구성 요소 🔧

LangChain 에이전트를 구현하려면 몇 가지 꼭 알아야 할 핵심 구성 요소들이 있어요. 이 구성 요소들은 단순히 “GPT에게 물어본다” 수준을 넘어서, 실제로 에이전트가 ‘행동’할 수 있게 만드는 기초 블록입니다. 이 구조만 잘 이해해도 Agent를 구성하는 데 훨씬 쉬워져요!

LangChain 에이전트를 구성하는 기본 블럭들

구성 요소 설명
LLM (Large Language Model) GPT와 같은 언어 모델. 에이전트의 ‘두뇌’ 역할을 해요.
Tool 계산기, 웹 검색, 데이터베이스 등 외부 기능. Agent가 사용 가능한 도구입니다.
Prompt Template LLM에게 문제를 잘 설명해주는 양식. 입력된 정보와 도구 사용법 등을 포함합니다.
AgentExecutor Agent의 ‘실행’ 관리자로, 프롬프트 생성 → 응답 처리 → 도구 사용 순서를 조율합니다.

이 구성 요소들은 어떻게 연결될까?

간단히 말하면 이렇게 흘러가요:

  1. 1️⃣ 사용자의 질문 → Prompt Template을 통해 포맷팅
  2. 2️⃣ LLM이 질문을 이해하고 필요한 Tool을 판단
  3. 3️⃣ AgentExecutor가 선택된 Tool을 실행
  4. 4️⃣ 결과를 종합해서 최종 응답 생성

실제 코드에서는 어떤 모듈을 쓸까?

LangChain에서 Agent를 만들 때 자주 등장하는 파이썬 모듈 몇 가지도 같이 알아두면 좋아요.

  • langchain.agents: 에이전트 구성 및 실행 관련 기능 모음
  • langchain.tools: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Tool 정의
  • langchain.llms: LLM과 연결하는 모듈

이렇게 구성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이어지기 때문에, 한 번 구조를 익혀두면 다양한 프로젝트에 응용하는 데에도 무척 유용하답니다! 🚀

3. LangChain 예제로 보는 기본 Agent 구성 💡

이번에는 LangChain 공식 예제를 기반으로 가장 기본적인 AI Agent를 직접 구성해보는 실습을 해볼 거예요. 아주 간단한 계산기 기능을 도구로 연결해서, Agent가 LLM과 Tool을 연동하여 답변을 생성하는 전 과정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예제 코드: 계산기 도구를 사용하는 LangChain Agent

우선 아래 코드를 그대로 실행해보세요. LangChain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OpenAI API 키도 준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from langchain.agents import load_tools, initialize_agent
from langchain.agents import AgentType
from langchain.llms import OpenAI

# LLM 정의
llm = OpenAI(temperature=0)

# 사용할 툴 불러오기 (계산기 포함)
tools = load_tools(["serpapi", "llm-math"], llm=llm)

# 에이전트 초기화
agent = initialize_agent(
    tools,
    llm,
    agent=AgentType.ZERO_SHOT_REACT_DESCRIPTION,
    verbose=True
)

# 실행 예시
agent.run("Who is Olivia Wilde's boyfriend? What is his current age raised to the 0.23 power?")

코드 해설 👨‍🏫

  • OpenAI LLM: 텍스트 응답을 생성하기 위한 중심 모델입니다. 여기선 GPT-3 기반 모델 사용.
  • load_tools(): 사용할 도구들 불러오기. 여기선 serpapi(검색), llm-math(수학 계산기)를 사용.
  • initialize_agent(): 도구와 모델을 조합하여 에이전트를 초기화. ZERO_SHOT_REACT_DESCRIPTION 방식은 도구 사용을 LLM이 판단하게 합니다.
  • agent.run(): 에이전트에게 복합적인 질문을 던지고, 답변을 받습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도구를 스스로 선택하고 실행해요.

실행 결과는?

에이전트는 먼저 'Olivia Wilde의 남자친구'가 누군지를 serpapi로 검색하고, 그의 나이를 알아낸 뒤, llm-math로 0.23 제곱을 계산합니다. 이처럼 단일 질문 안에서도 여러 도구를 활용해 계획 수립 → 실행 → 결과 통합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에요.

이 간단한 예제를 통해 LangChain Agent의 작동 방식을 직접 확인해볼 수 있었죠? 다음 단계에서는 이런 Agent에 나만의 도구를 추가하는 방법도 소개해볼게요!

4. 나만의 Tool 추가하기 🛠️

LangChain의 진짜 매력은 바로 여기에 있어요. 기존에 제공되는 툴뿐 아니라 나만의 함수를 도구로 등록해서 에이전트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다는 거죠. 예를 들어, 단순한 문자열 처리 함수나 외부 API 호출을 하나의 Tool로 정의할 수 있어요.

예제: 텍스트를 뒤집는 커스텀 함수 만들기

아래는 텍스트를 거꾸로 뒤집는 함수를 LangChain Agent의 Tool로 추가하는 코드예요.

from langchain.agents import Tool, initialize_agent, AgentType
from langchain.llms import OpenAI

# 커스텀 함수 정의
def reverse_text(text: str) -> str:
    return text[::-1]

# Tool 객체로 래핑
reverse_tool = Tool(
    name="Text Reverser",
    func=reverse_text,
    description="Reverses the input text string."
)

# LLM 초기화
llm = OpenAI(temperature=0)

# Agent 초기화
agent = initialize_agent(
    tools=[reverse_tool],
    llm=llm,
    agent=AgentType.ZERO_SHOT_REACT_DESCRIPTION,
    verbose=True
)

# 실행
agent.run("Please reverse the text: LangChain is powerful.")

코드 설명 🔍

  • reverse_text(): 입력받은 문자열을 뒤집는 간단한 함수예요.
  • Tool 객체: LangChain에서 에이전트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수에 메타데이터를 입힌 형태예요.
  • Agent 생성: 이번엔 reverse_tool만 연결해서 Agent가 이 도구를 이용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했어요.

실행 결과는?

에이전트는 LLM을 통해 문장을 분석한 뒤 Text Reverser 툴을 호출하여 "LangChain is powerful."을 뒤집은 결과를 리턴합니다: ".lufrewop si niaCgnaL"

이처럼, 단순한 파이썬 함수라도 LangChain의 Tool로 래핑하면 에이전트가 마치 “사고하고 도구를 사용하는 존재”처럼 행동하게 되는 거예요. 그리고 이건 단지 시작일 뿐이죠. 외부 API, DB 조회, 크롤링, 이메일 전송 등... 뭐든 가능합니다!

5. 에이전트 실행 흐름과 작동 원리 🔄

이제 LangChain Agent가 어떤 방식으로 동작하는지 전체 흐름을 짚어볼 차례예요. 그냥 코드만 보고 ‘작동한다!’라고 생각하기보단, 에이전트가 질문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한 단계씩 따라가보면 이해가 훨씬 쉬워집니다.

LangChain Agent의 내부 동작 순서

1️⃣ 사용자 입력: 사용자가 질문 또는 요청을 입력합니다.

2️⃣ Prompt Template 구성: Agent는 이 입력을 기반으로 프롬프트를 구성해요.

3️⃣ LLM 호출: 프롬프트가 LLM(OpenAI 등)에 전달되어, ‘무엇을 해야 할지’ 판단합니다.

4️⃣ 도구 선택: 필요한 경우, 에이전트는 Tool 목록에서 적절한 도구를 골라 실행합니다.

5️⃣ 중간 결과 처리: 툴의 결과를 다시 프롬프트에 반영해 다음 행동을 결정합니다.

6️⃣ 최종 응답 생성: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Agent는 종합적인 응답을 만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합니다.

실제 실행 로그 예시 (verbose=True)

예제 코드에서 verbose=True를 설정해 실행하면, Agent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도구를 선택하는지 로그로 보여줘요. 예를 들면 이런 흐름이 출력됩니다:

Thought: I need to look up who Olivia Wilde's boyfriend is.
Action: Search
Action Input: "Olivia Wilde boyfriend"
Observation: Harry Styles
Thought: I need to calculate his age raised to the 0.23 power.
Action: Calculator
Action Input: 29^0.23
Observation: 2.1697
Final Answer: Olivia Wilde's boyfriend is Harry Styles. 29^0.23 is approximately 2.17.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에이전트가 단순한 응답 생성기가 아니라, ‘계획하고 사고하는 존재처럼 행동’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도구를 선택하고 중간 결과를 반영하며 점진적으로 목표에 다가가는 방식은, 인간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과 꽤 비슷하죠.

AgentType.ZERO_SHOT_REACT_DESCRIPTION 방식이란?

우리가 사용한 에이전트 타입 ZERO_SHOT_REACT_DESCRIPTION은 말 그대로 “프롬프트에 기반한 리액트 방식”이에요. LLM이 문제를 보고 스스로 어떤 도구를 언제 사용할지 판단하고, 도구 실행과 응답 생성을 반복하면서 정답을 찾아가는 구조죠.

추후에는 Conversational Agent처럼 대화를 기억하며 작동하는 타입도 활용할 수 있고, Plan-and-Execute Agent처럼 미리 전체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방식도 활용 가능해요. 즉, LangChain Agent는 유연하게 성장하는 구조라는 점을 기억해두세요!

6. 실습 팁과 확장 아이디어 ✨

LangChain Agent를 직접 구성해보셨다면, 분명 이렇게 생각하셨을 거예요. “어? 이거 생각보다 재밌고 유용한데?” 맞아요! 에이전트를 만들고 커스터마이징하는 과정은 단순한 프롬프트 실험과는 또 다른 재미가 있어요. 이번엔 실습을 해보면서 알게 된 꿀팁과 확장 가능성에 대해 공유할게요.

LangChain Agent 실습 팁 5가지 💡

  • 도구 설명은 구체적으로! Tool 생성 시 description 필드는 매우 중요해요. LLM이 어떤 상황에서 해당 도구를 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거든요.
  • Prompt를 깔끔하게! 사용자 입력 외에도 context, instruction 등을 프롬프트에 명확히 담아주는 게 중요합니다.
  • verbose=True 적극 활용: 디버깅 시 Agent의 Thought/Action/Observation 흐름을 모두 볼 수 있어서 정말 유용해요!
  • 도구 체이닝 고려: 여러 도구를 순차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경우엔 Tool 내부에서 다른 함수나 API 호출을 연결하세요.
  • Tool 출력값 형식은 일관되게: 문자열 or JSON 등으로 정해두고, 출력값을 LLM이 읽기 편하도록 구성하세요.

확장 아이디어: 실전에서 이렇게 써보세요! 🧠

적용 분야 활용 아이디어
업무 자동화 메일 요약, 회의록 정리, 보고서 자동 작성
개발 도우미 코드 설명, API 문서 요약, 에러 진단
데이터 분석 CSV 분석 툴 연결 → 사용자 질문 기반 데이터 요약
교육 튜터 맞춤 문제 출제, 채점 도구 연결, 설명 기반 학습

LangChain Agent는 생각보다 무궁무진하게 활용할 수 있어요. 처음에는 단순한 계산기나 검색 툴을 연결하는 데서 시작하더라도, 점점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맞춤형 AI 서비스로 진화시킬 수 있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글을 정리하고, 어떤 방향으로 확장해나가면 좋을지 마무리해볼게요!

마무리하며 ✍️

여기까지 LangChain을 활용한 기본 AI Agent 구성을 함께 알아봤습니다. 처음엔 다소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하나씩 따라가다 보면 ‘도구를 선택하고 실행하는 GPT’라는 개념이 그리 멀게 느껴지지 않아요. 🤖

LangChain Agent는 단순한 프롬프트 응답을 넘어 도구를 직접 활용하는 지능형 AI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앞으로 다양한 API와 외부 서비스들을 연결해 더욱 강력하고 실용적인 에이전트를 구현할 수 있어요.

 

이번 실습을 통해 AI Agent에 대한 감을 조금 잡으셨다면, 이제 여러분만의 툴을 정의하고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Agent를 설계해보세요. 언젠가는 여러분의 서비스나 프로젝트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훌륭한 기반이 되어줄 거예요.

 

마지막으로, 작은 팁! 에이전트는 정답보다 과정(Thought → Action → Observation)이 중요하다는 걸 기억하세요.

GPT의 ‘사고 흐름’을 디버깅하며 분석하는 습관을 들이면, 에이전트 설계가 한층 쉬워질 거예요. 😊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