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시퀀스 자료형 완전 정복: 리스트(list)의 모든 것

파이썬에서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싶다면?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할 건 바로 리스트(list)입니다!

 

 

안녕하세요, 파이썬 초보자 여러분 😊

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하셨다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부터 배우는 게 중요하죠.

그 중에서도 시퀀스 자료형 중 하나인 리스트는 정말 자주 쓰이는 필수 개념이에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리스트의 기본 개념부터 생성, 인덱싱, 슬라이싱, 함수 활용까지 예제와 함께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단순히 문법을 외우는 게 아니라 "왜 그렇게 사용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릴 테니,

끝까지 따라와 주세요!

1. 리스트란 무엇인가요? 📘

파이썬에서 리스트(list)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이에요.

즉, 숫자, 문자, 또 다른 리스트까지 하나의 변수 안에 여러 값을 담고 싶을 때 사용하는 도구죠.

 

"리스트는 책의 목차처럼 순서대로 데이터를 담고 있고, 원하는 항목을 '몇 번째인지'로 찾아낼 수 있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쉬워요.

리스트의 기본 문법

# 리스트 기본 구조
리스트이름 = [값1, 값2, 값3, ...]

예제: 숫자와 문자열을 담은 리스트

numbers = [1, 2, 3, 4, 5]
words = ["apple", "banana", "cherry"]
mix = [1, "two", 3.0, [4, 5]]

 

위 예제처럼 리스트는 숫자, 문자열, 심지어 또 다른 리스트까지도 요소로 가질 수 있어요.

이게 바로 리스트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예요.

왜 리스트가 필요할까?

  • 하나의 변수에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고 반복문으로 처리하고 싶을 때
  • 다양한 자료형을 섞어서 저장하고 싶을 때
  • 데이터를 쉽게 추가하거나 삭제해야 할 때

리스트를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황

상황 리스트 활용 예시
학생들의 점수를 저장할 때 scores = [85, 90, 78, 92]
여러 장바구니 상품을 저장할 때 cart = ["사과", "바나나", "딸기"]
여러 명의 사용자 ID 저장 시 user_ids = ["kim123", "lee456", "choi789"]

 

이처럼 리스트는 데이터를 모아서 다루는 데 최적화된 자료형이에요.

다음 섹션에서는 리스트를 만드는 다양한 방법과 예제를 소개할게요.

직접 실습도 해볼 준비 되셨죠? ✨

 

 

2. 리스트 생성 방법과 다양한 예제 ✍️

리스트를 만드는 방법은 정말 다양해요.

기본적인 대괄호 문법 외에도 파이썬만의 직관적인 문법 덕분에 다양한 방식으로 리스트를 선언하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하나씩 예제와 함께 알아볼게요!

기본 리스트 생성 방법

# 숫자 리스트
numbers = [10, 20, 30, 40, 50]

# 문자열 리스트
fruits = ["apple", "banana", "cherry"]

# 혼합 리스트
mix = [1, "hello", 3.14, True]

# 리스트 안에 리스트 (중첩 리스트)
matrix = [[1, 2], [3, 4], [5, 6]]

 

보시다시피 리스트는 다양한 자료형을 함께 포함할 수 있어요.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열, 불(Boolean), 심지어 또 다른 리스트까지도 들어갈 수 있습니다.

리스트 생성 실습 예제

목적 리스트 코드
빈 리스트 생성 empty = [] 또는 empty = list()
0부터 9까지의 숫자 리스트 numbers = list(range(10))
5개의 'hi'가 담긴 리스트 greetings = ["hi"] * 5

리스트 복사와 참조

리스트를 다른 변수에 대입하면 복사가 아닌 참조가 이루어집니다.

즉, 같은 리스트를 가리키는 거예요.

a = [1, 2, 3]
b = a
b[0] = 99
print(a)  # 결과: [99, 2, 3]

위 코드처럼 b를 수정했는데 a도 함께 바뀌었죠? 이럴 땐 copy()슬라이싱을 활용해 복사할 수 있어요.

a = [1, 2, 3]
b = a.copy()  # 또는 b = a[:]
b[0] = 99
print(a)  # 결과: [1, 2, 3]

 

이제 다양한 리스트 생성 방법을 익혔으니,

다음 단계에서는 리스트의 핵심 기능인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배워볼 차례입니다! 🎯

 

 

3.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 🎯

리스트의 큰 장점 중 하나는 원하는 값을 순서로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걸 가능하게 해주는 게 바로 인덱싱과 슬라이싱입니다.

헷갈릴 수도 있지만, 예제와 함께 익히면 금방 익숙해져요!

인덱싱(Indexing)이란?

인덱싱은 리스트에서 특정 위치의 값을 가져오는 방법이에요.

파이썬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fruits = ["apple", "banana", "cherry"]
print(fruits[0])  # apple
print(fruits[2])  # cherry
print(fruits[-1]) # cherry (마지막 요소)
  • [0] : 첫 번째 요소
  • [-1] : 마지막 요소

슬라이싱(Slicing)이란?

슬라이싱은 리스트의 일부 구간을 잘라내는 기능이에요.

리스트[시작:끝] 형태로 사용되며, 끝 인덱스는 포함하지 않아요.

numbers = [0, 1, 2, 3, 4, 5, 6]
print(numbers[2:5])   # [2, 3, 4]
print(numbers[:3])    # [0, 1, 2]
print(numbers[4:])    # [4, 5, 6]

 

중요한 점은 끝 인덱스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

그래서 [2:5]는 2, 3, 4만 포함돼요.

슬라이싱 응용 예제

data = ["a", "b", "c", "d", "e", "f"]

print(data[::2])    # ['a', 'c', 'e'] : 2칸 간격
print(data[::-1])   # ['f', 'e', 'd', 'c', 'b', 'a'] : 역순

 

슬라이싱에서 [::간격]을 지정하면 n칸씩 건너뛰며 리스트를 자를 수도 있어요.

또한 [::-1]은 리스트를 뒤집는 간단한 방법이기도 하죠!

정리: 인덱싱 vs 슬라이싱

구분 설명 예시
인덱싱 특정 위치의 하나의 값 반환 list[2] → 3번째 값
슬라이싱 여러 값을 범위로 잘라 반환 list[1:4] → 2~4번째 값

 

이제 리스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꺼내는 데에는 무리가 없겠죠?

다음은 리스트를 더하고 곱하고, 길이를 재는 연산 기능을 배워봅시다 ➕✖️

 

 

4. 리스트 연산과 활용법 ➕✖️

리스트는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연산을 통해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어요.

더하기, 곱하기, 길이 측정 같은 기본적인 연산부터 응용까지 차근차근 살펴볼게요!

리스트 더하기(+) - 리스트 합치기

a = [1, 2, 3]
b = [4, 5, 6]
c = a + b
print(c)  # [1, 2, 3, 4, 5, 6]

 

+ 연산자를 사용하면 두 리스트를 연결할 수 있어요.

문자열에서 "Hello" + "World"가 "HelloWorld"가 되는 것처럼 리스트도 이어집니다.

리스트 곱하기(*) - 반복 생성

a = ["Hi"]
b = a * 3
print(b)  # ['Hi', 'Hi', 'Hi']

 

* 연산자는 리스트를 여러 번 반복해서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어요.

초기화된 리스트를 만들 때도 유용하게 쓰인답니다.

리스트 길이 구하기 - len() 함수

a = [10, 20, 30, 40]
print(len(a))  # 4

 

len()은 리스트의 요소 개수를 알려주는 함수예요.

문자열, 튜플, 딕셔너리, 세트 등에도 공통적으로 사용됩니다.

리스트 비교 및 포함 확인

a = [1, 2, 3]
b = [1, 2, 3]
print(a == b)       # True
print(2 in a)       # True
print(4 not in a)   # True

 

리스트는 비교도 되고, in, not in을 통해 특정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리스트 연산 요약표

연산자 설명 예시
+ 리스트 연결 [1,2] + [3,4] → [1,2,3,4]
* 리스트 반복 [0] * 4 → [0,0,0,0]
len() 길이 반환 len([1,2,3]) → 3
in / not in 값 포함 여부 확인 2 in [1,2,3] → True

 

지금까지 리스트 연산의 기본기를 익혔다면,

다음은 실전에서 더 많이 쓰이는 리스트 전용 함수들을 알아볼 시간입니다 🔧

계속 따라와 주세요!

 

 

5. 꼭 알아야 할 리스트 함수들 🔧

파이썬 리스트는 정말 유용한 내장 함수들을 많이 제공해요.

이 함수들만 제대로 활용해도 리스트 활용도가 훨씬 높아집니다! 자, 하나씩 예제를 통해 알아봅시다 😊

요소 추가: append(), insert()

fruits = ["apple", "banana"]
fruits.append("cherry")
print(fruits)  # ['apple', 'banana', 'cherry']

fruits.insert(1, "orange")
print(fruits)  # ['apple', 'orange', 'banana', 'cherry']
  • append() : 리스트 마지막에 요소 추가
  • insert(인덱스, 값) : 원하는 위치에 요소 삽입

요소 삭제: remove(), pop(), del

numbers = [10, 20, 30, 20, 40]
numbers.remove(20)
print(numbers)  # [10, 30, 20, 40]

numbers.pop()
print(numbers)  # [10, 30, 20]

del numbers[1]
print(numbers)  # [10, 20]
  • remove(x) : 첫 번째 x값 삭제
  • pop() : 마지막 요소 꺼내고 삭제
  • del : 특정 인덱스 요소 삭제

정렬과 뒤집기: sort(), reverse()

nums = [5, 3, 9, 1]
nums.sort()
print(nums)  # [1, 3, 5, 9]

nums.reverse()
print(nums)  # [9, 5, 3, 1]

 

sort()는 오름차순 정렬, reverse()는 현재 순서를 뒤집어요.

sort(reverse=True)로 내림차순도 가능합니다!

기타 유용한 함수

a = [1, 2, 3, 2, 4]

print(a.index(2))     # 1
print(a.count(2))     # 2
a.extend([5, 6])
print(a)              # [1, 2, 3, 2, 4, 5, 6]
  • index(x) : x의 첫 번째 위치 반환
  • count(x) : 리스트에 x가 몇 번 나오는지
  • extend(리스트) : 리스트 연결

 

리스트 함수 요약 정리표

함수 기능 설명 예시
append() 요소 추가 (맨 뒤) a.append(10)
insert() 요소 삽입 (특정 위치) a.insert(2, 99)
remove() 첫 번째 해당 값 삭제 a.remove(3)
pop() 요소 꺼내고 삭제 a.pop()
sort() 정렬 a.sort()
extend() 리스트 확장 a.extend([5,6])

 

이제 리스트 관련 함수는 마스터!

다음 장에서는 튜플과 딕셔너리와의 차이점까지 정리해볼게요.

리스트가 왜 자주 쓰이는지 비교해보면 더 확실히 와닿을 거예요 ⚖️

 

 

6. 튜플·딕셔너리와 리스트 비교 분석 ⚖️

리스트만큼 자주 언급되는 시퀀스 자료형이 바로 튜플(tuple)딕셔너리(dictionary)예요.

이 세 가지는 헷갈리기 쉬운데요,

지금부터 차이점과 언제 써야 할지를 정리해드릴게요.

리스트 vs 튜플

항목 리스트 (list) 튜플 (tuple)
기호 [ ] (대괄호) ( ) (소괄호)
수정 가능 여부 O (mutable) X (immutable)
용도 자주 변하는 데이터 변경되지 않는 고정값

 

리스트는 변경 가능하고, 튜플은 변경 불가능하다는 게 핵심이에요!

데이터 보호가 중요하다면 튜플이 적합하고, 자주 바뀌는 값이라면 리스트가 적합하죠.

리스트 vs 딕셔너리

항목 리스트 (list) 딕셔너리 (dict)
데이터 구조 값의 나열 (순서 기반) 키-값 쌍 (연관성 기반)
접근 방법 인덱스(0, 1, 2…) Key로 접근
예시 scores = [80, 90] scores = {"국어":80, "영어":90}

 

딕셔너리는 순서보다 관계(연관성)가 중요할 때 유용해요.

예를 들어 학생 이름과 점수를 매칭해야 할 때는 리스트보다 딕셔너리가 더 적합합니다!

정리: 리스트 vs 튜플 vs 딕셔너리

자료형 변경 가능 여부 접근 방식 사용 목적
리스트 가능 인덱스 순서 있는 데이터 저장
튜플 불가능 인덱스 고정값 보호
딕셔너리 가능 Key 연관 데이터 저장

 

이제 리스트가 언제 유리한지, 튜플과 딕셔너리와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실히 이해되셨죠?

다음은 마지막으로 전체 내용을 정리하며, 리스트를 활용한 실전 팁까지 공유드릴게요!

 

 

📝  리스트는 파이썬 입문의 필수 열쇠!

지금까지 파이썬 리스트의 기본부터 고급 활용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리스트가 그저 데이터를 담는 그릇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거의 모든 곳에서 등장합니다.

리스트는 단순한 기능을 넘어서, 반복문, 조건문, 함수, 클래스 등과 함께 조합될 때 그 진가를 발휘해요.

이제 여러분은 리스트를 자유롭게 선언하고, 슬라이싱하고, 정렬하고, 수정할 수 있는 파이썬 사용자로 한 단계 성장하셨습니다! 🎉

앞으로도 리스트는 자주 등장하니, 이 글을 북마크 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참고해주세요.

 

궁금한 점이 생기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 주세요! 😊

다음 글에서는 파이썬 튜플과 딕셔너리의 실전 활용도 다뤄볼 예정입니다. 기대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파이썬 불(bool) 타입의 연산 완전 정복
: 비교 연산자와 논리 연산자 한 번에 이해하기

True와 False만 알면 끝? 불(bool) 타입은 파이썬에서 조건문을 지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초보 개발자라면 반드시 마스터해야 할 개념이죠!

 

 

안녕하세요, 여러분 😊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우기 시작하면 가장 먼저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불(bool) 타입입니다.

조건문, 반복문, 함수 등 모든 흐름 제어의 중심에는 항상 TrueFalse가 있죠.

하지만 이 두 단어가 단순히 '참'과 '거짓'을 나타낸다고만 생각하면 큰 오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불 타입의 작동 원리부터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까지, 프로그래밍의 흐름을 지배하는 핵심 개념을 친절하고 쉽게 알려드릴게요.

이해를 돕기 위한 실전 예제와 표, 리스트도 풍부하게 준비했으니, 끝까지 따라오시면 분명 '아하!'하는 순간이 올 거예요!

1. 불(bool) 타입이란? 🤔

bool 타입은 참(True) 또는 거짓(False) 두 가지 값만 가지는 데이터 타입이에요.

파이썬에서는 이 값을 TrueFalse라는 키워드로 나타냅니다.

조건문이나 반복문 등 프로그램의 흐름 제어에서 아주 핵심적인 역할을 하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에서 3 > 2는 참이기 때문에 True를 반환합니다:

x = 3 > 2
print(x)  # 출력 결과: True

불 타입의 특징

  • TrueFalse는 각각 1과 0처럼 동작할 수 있어요.
  • 다른 데이터 타입도 불리언 값으로 평가될 수 있어요.
  • 조건문에서 if 문 등과 함께 자주 쓰입니다.

다양한 자료형의 불리언 값 평가 예시

bool(값) 설명
0 False 숫자 0은 거짓
"" False 빈 문자열은 거짓
[] False 빈 리스트는 거짓
[1, 2, 3] True 요소가 있는 리스트는 참
"Hello" True 빈 문자열이 아니면 참

즉, 파이썬에서 어떤 값이 True인지 False인지 궁금하다면 bool() 함수로 감싸서 테스트해보면 됩니다!

print(bool(""))     # False
print(bool("Hi"))   # True
print(bool([]))     # False
print(bool([0]))    # True

이렇게 불 타입은 파이썬에서 엄청 자주 사용되며, 다른 타입들과도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는 걸 꼭 기억하세요! 😊

 

 

2. 비교 연산자 정복하기 🔍

불 타입을 제대로 활용하려면 비교 연산자를 반드시 알아야 합니다.

변수나 값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어떤 관계에 있는지 판단할 수 있게 해주거든요.

비교 연산자는 항상 True 또는 False를 반환합니다!

기본 비교 연산자 종류

연산자 의미 예시
== 같다 3 == 3 → True
!= 다르다 5 != 2 → True
> 크다 10 > 3 → True
< 작다 2 < 5 → True
>= 크거나 같다 3 >= 3 → True
<= 작거나 같다 1 <= 5 → True

실습 예제 🧪

a = 7
b = 10

print(a == b)  # False
print(a != b)  # True
print(a < b)   # True
print(a >= 5)  # True

문자열과 비교도 가능할까? 🔠

네! 문자열도 ==!= 같은 연산자를 사용해서 비교할 수 있어요.

알파벳 순서 비교도 가능합니다.

print("apple" == "apple")  # True
print("cat" > "car")       # True ('t'가 'r'보다 나중 알파벳)

파이썬에서는 문자열 비교 시 사전순 정렬 기준으로 판단하므로, 이 원리를 알면 정렬 기능을 만들거나 정렬 조건을 지정할 때도 매우 유용해요!

 

 

3. 논리 연산자 한방에 정리 ✅

자, 이제 비교 연산자를 알았으니 다음 단계로 넘어가볼까요?

이번에는 여러 조건을 한 번에 조합해 조건식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논리 연산자에 대해 알아볼 차례예요.

 

논리 연산자는 and, or, not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참(True)과 거짓(False)을 결합하여 복합적인 판단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논리 연산자 요약표 📋

연산자 설명 예시 결과
and 모두 참이면 True True and False False
or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True False or True True
not 논리값을 반대로 not True False

실전 예제 🧪

x = 7

# x가 5보다 크고 10보다 작을 때
print(x > 5 and x < 10)  # True

# x가 3보다 작거나 10보다 작을 때
print(x < 3 or x < 10)   # True

# not을 사용한 반전
print(not(x < 10))       # False

논리 연산자를 활용하면 조건을 조합해서 복잡한 상황에서도 깔끔하게 조건식을 만들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로그인할 때 아이디 일치 여부 and 비밀번호 일치 여부를 같이 검사하는 것도 and 연산으로 쉽게 구현 가능하죠.

실수 주의사항 ⚠️

  • andor왼쪽부터 차례대로 평가돼요. 필요 없는 부분은 생략될 수도 있어요 (short-circuit).
  • not은 단항 연산자라 괄호 없이 사용하면 헷갈릴 수 있어요.

결론적으로, 논리 연산자는 비교 연산자와 함께 쓸 때 진짜 강력해집니다.

조건을 자유자재로 조합할 수 있는 능력은 코딩 실력을 한 단계 높여주는 핵심이에요!

 

 

4. 불 타입이 쓰이는 대표적인 예시 💡

지금까지 불(bool) 타입과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에 대해 알아봤다면, 이젠 실제 코딩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보는 게 중요하겠죠?

불 타입은 조건문, 반복문, 리스트 컴프리헨션, 필터링, 함수 반환 등 수많은 곳에서 쓰여요.

하나하나 예시를 통해 살펴볼게요!

조건문에서의 활용

age = 18
if age >= 18:
    print("성인입니다.")
else:
    print("미성년자입니다.")

위 예시에서 age >= 18이 불 타입으로 평가되고, True일 경우만 if 블록이 실행돼요.

조건문은 사실상 불 타입이 핵심이랍니다!

반복문에서의 활용

count = 0
while count < 3:
    print("반복 중:", count)
    count += 1

while문의 조건 역시 불 타입으로 평가됩니다.

조건이 True인 동안만 반복이 계속돼요.

그래서 무한 루프를 막기 위해 불 표현을 잘 다뤄야 하죠!

리스트 필터링에 활용

nums = [1, 2, 3, 4, 5, 6]
even = [n for n in nums if n % 2 == 0]
print(even)  # [2, 4, 6]

n % 2 == 0의 결과는 불 타입이며, True인 값만 리스트에 포함됩니다.

이게 바로 리스트 컴프리헨션의 필터링 기능이에요!

함수의 반환값으로도 활용

def is_adult(age):
    return age >= 18

print(is_adult(21))  # True
print(is_adult(16))  # False

이처럼 bool 값은 판단의 기준이 되어 함수의 결과로도 매우 자주 쓰여요.

간단하지만 명확한 제어가 가능해지는 거죠.

한 줄 요약 ✨

불 타입은 파이썬 로직의 뼈대입니다. 조건 + 판단 = 흐름 제어의 핵심 요소라고 기억하세요!

 

 

5. 자주 하는 실수와 주의사항 ⚠️

불(bool) 타입은 단순해 보여도, 의외로 초보자들이 자주 실수하는 포인트들이 숨어 있어요.

지금부터 알려드리는 실수 유형과 주의사항을 체크하면, 불 타입으로 인한 디버깅 시간 대폭 줄일 수 있습니다!

❗ 자주 하는 실수 TOP 5

  1. = (대입)과 == (비교) 헷갈리기
    → 조건문에서 실수로 if x = 3: 이렇게 쓰면 에러 납니다!
  2. and/or 우선순위 잘못 이해하기
    True or True and FalseTrue입니다. and가 먼저 계산돼요.
  3. not 연산자 괄호 없이 쓸 때 헷갈림
    not a == bnot (a == b) 의미로 정확히 써야 해요.
  4. bool() 결과를 예상 못함
    → 빈 리스트, 빈 문자열, 0은 모두 False, 그 외는 거의 True.
  5. 복합 조건문 괄호 생략으로 인한 오해
    if a > 3 and b < 10 or c == 5: 괄호로 구분 안 하면 로직 꼬일 수 있어요.

✅ 실수 방지 체크리스트

  • 비교는 항상 ==, 대입은 =
  • 복잡한 조건일수록 괄호 써주기!
  • bool()로 테스트하면 값의 참/거짓 쉽게 확인 가능

💡 팁 하나 더!

불 타입은 때로 숫자처럼 쓰이기도 해요.

int(True) → 1, int(False) → 0

 

반대로도 가능: bool(0) → False, bool(1) → True

 

이걸 잘 이해하면, sum([True, False, True])처럼 True의 개수 세기 같은 트릭도 가능하답니다!

 

 

6. 퀴즈 및 실전 연습문제 🧠

이제 이론은 충분히 익혔고, 진짜 내 것이 되려면 직접 풀어봐야겠죠?

아래는 불(bool) 타입과 비교·논리 연산자를 복습할 수 있는 실전 퀴즈입니다.

천천히 풀어보면서 내가 진짜 이해했는지 확인해보세요!

퀴즈 1️⃣: 참일까 거짓일까?

print(10 > 5 and 3 < 1)      # ?
print(not (4 == 2 * 2))      # ?
print("hello" == "Hello")    # ?
print(bool([]))              # ?

정답: False, False, False, False

퀴즈 2️⃣: 조건을 코드로 작성해보세요 ✍️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if 문을 만들어보세요:

  • score가 90점 이상이면서, attendance가 80 이상일 경우 "A등급"
score = 92
attendance = 85

if score >= 90 and attendance >= 80:
    print("A등급")

보너스 미션 🎁

리스트 안의 True 값이 몇 개인지 세어보는 코드를 짜보세요!

values = [True, False, True, True, False]
count = sum(values)
print(count)  # 출력: 3

불 타입은 숫자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sum()으로 True의 개수를 바로 셀 수 있다는 점!

이건 진짜 꿀팁이에요. 꼭 기억해두세요!

 

 

마무리하며 ✨

자, 오늘은 파이썬의 가장 기본이자 핵심 중 하나인 불(bool) 타입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를 전부 다뤄봤어요.

이 개념들이 단순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 프로젝트나 업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가장 쉽게 실수하는 부분이기도 해요.

처음엔 TrueFalse만 보고 별거 아니라고 생각했을 수 있지만, 이 불 타입 하나로 프로그램의 흐름을 완전히 조절할 수 있다는 점, 이제는 감이 오시죠?

이제 다양한 조건을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을 거예요. 진짜 개발자의 한 걸음, 축하드려요! 👏

 

 

반응형
반응형

파이썬 문자열 마스터하기: 인덱싱, 슬라이싱, 포맷팅, 함수 총정리

여러분, 문자열 처리만 제대로 익혀도 파이썬 실력이 한 단계 확 올라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 초보자라면 꼭 알아야 할 문자열 다루기에 대해 다뤄보려 해요.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단순한 텍스트 데이터가 아닙니다.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포맷팅, 함수들을 잘 활용하면 데이터 처리, 출력 형식 지정, 텍스트 조작 등 다양한 작업을 아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거든요.

이 글에서는 헷갈리기 쉬운 인덱스와 슬라이스 개념부터, 초보자들이 자주 틀리는 포맷팅 방식, 그리고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문자열 함수들까지 전부 친절하게 알려드릴게요.

1. 문자열 인덱싱의 원리와 활용법 🔍

문자열 인덱싱(Indexing)은 문자열 안의 특정 문자를 위치를 기준으로 가져오는 방식이에요.

마치 책갈피처럼, 문자열의 글자마다 고유한 번호(index)가 매겨지기 때문에, 우리가 원하는 문자를 숫자로 불러오는 거죠!

문자열 인덱싱의 기본 개념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를 가지고 있어요.

왼쪽에서부터는 0, 1, 2... 순서대로, 오른쪽에서부터는 -1, -2, -3... 이렇게 부여되죠.

text = "Python"
print(text[0])   # P
print(text[-1])  # n

text[0]는 문자열의 첫 글자인 'P'를, text[-1]은 마지막 글자인 'n'을 반환해요.

이처럼 앞에서든 뒤에서든 원하는 글자 하나만 뽑아낼 수 있어요.

문자 인덱싱 실습 예제

문자열 인덱스 결과
"Hello, World!" [7] W
"Python" [-2] o

인덱싱에서 주의할 점

  • 인덱스 범위를 벗어나면 IndexError가 발생해요.
  • 음수 인덱스를 사용할 때는 문자열 길이와 비교해서 신중히 접근하세요.

문자열 인덱싱은 파이썬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나중에 리스트, 튜플, 문자열 파싱 작업에서도 자주 사용되니까 지금 확실히 익혀두면 정말 좋아요!

 

 

2. 문자열 슬라이싱으로 원하는 부분 추출 ✂️

문자열에서 특정 구간을 잘라내고 싶을 때는 슬라이싱(Slicing)을 사용해요.

슬라이싱은 문자열[시작:끝] 형태로 사용하며,

시작 인덱스는 포함되고 끝 인덱스는 제외된다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

text = "Hello, Python!"
print(text[0:5])   # Hello
print(text[7:13])  # Python

슬라이싱의 다양한 형태

슬라이싱 구문 설명
text[:5] 처음부터 5번째 문자 전까지 (0~4)
text[7:] 7번째 문자부터 끝까지
text[:-1] 마지막 문자 제외하고 전부
text[::2] 전체 문자열에서 한 칸씩 건너뛰며 출력

실제 예제로 감 잡기

msg = "파이썬 문자열 슬라이싱 연습"
print(msg[:3])     # 파이썬
print(msg[-3:])    # 연습
print(msg[4:8])    # 문자열

슬라이싱은 단순히 문자열을 잘라내는 기능을 넘어서, 특정 형식의 데이터를 추출하거나 가공하는 데 자주 사용돼요.

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에서 생년월일만 뽑거나, 파일 경로에서 확장자만 잘라내는 경우에도 쓰이죠.

활용 팁 💡

  • text[::-1]을 사용하면 문자열을 뒤집을 수 있어요.
  • 슬라이싱은 리스트나 튜플에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니 꼭 익혀두세요!

파이썬 슬라이싱은 간단해 보이지만, 익숙해지면 정말 다재다능한 무기가 되어줍니다.

초보자분들은 꼭 손으로 직접 입력해보며 연습해보세요!

 

 

3. 문자열 포맷팅: %, format(), f-string 비교 🧩

출력 결과를 보기 좋게 다듬고 싶다면?

바로 문자열 포맷팅이 필요해요.

포맷팅은 문자열 안에 변수를 넣거나 숫자의 형식을 지정할 때 사용되는데요,

파이썬에는 대표적으로 % 포맷 방식, format(), 그리고 f-string 방식이 있어요.

각각의 특징을 예제와 함께 비교해볼게요!

① % 포맷 방식

name = "홍길동"
age = 30
print("이름: %s, 나이: %d" % (name, age))

%s는 문자열, %d는 정수, %f는 실수를 의미해요.

예전 방식이지만 여전히 사용되고 있어요.

② format() 함수 방식

print("이름: {}, 나이: {}".format(name, age))
print("이름: {0}, 나이: {1}".format(name, age))
print("이름: {n}, 나이: {a}".format(n=name, a=age))

format()은 인덱스나 키워드 인자를 활용할 수 있어 유연하고 다양한 방식의 문자열 출력이 가능해요.

③ f-string (파이썬 3.6 이상)

print(f"이름: {name}, 나이: {age}")

f-string은 가장 간결하고 직관적인 최신 방식이에요.

변수명만 중괄호에 넣으면 바로 출력 가능해서 특히 많이 사용돼요.

 

포맷팅 비교 요약표

포맷팅 방식 장점 단점
% 간단한 출력에 유용 복잡한 포맷에는 불리함
format() 인덱스/이름 지정 등 다양한 형태 가능 코드 길이가 조금 길어질 수 있음
f-string 가장 간결하고 가독성이 좋음 파이썬 3.6 이상에서만 사용 가능

상황에 따라 포맷팅 방식이 달라질 수 있지만, 최근에는 대부분 f-string을 선호해요.

속도도 빠르고, 눈에 잘 들어오거든요 😎

 

 

4. 자주 쓰이는 문자열 함수 총정리 📚

파이썬 문자열은 단순한 텍스트 그 이상이에요.

문자열 객체가 수많은 유용한 함수들을 내장하고 있어서, 복잡한 텍스트 처리도 단 몇 줄이면 OK!

여기선 초보자부터 중급자까지 꼭 알아야 할 함수들을 분야별로 정리해볼게요.

① 문자열 검색 관련 함수

  • find(): 처음 찾은 위치 반환, 없으면 -1
  • index(): 찾는 문자열의 위치 반환, 없으면 오류 발생
  • count(): 특정 문자가 몇 번 등장하는지 세기

② 대소문자 및 공백 처리

  • upper(): 모든 문자를 대문자로
  • lower(): 모든 문자를 소문자로
  • strip(): 양쪽 공백 제거 (lstrip(), rstrip()도 있음)

③ 문자열 변형

  • replace(old, new): old를 new로 바꾸기
  • split(sep): 문자열을 리스트로 분리
  • join(): 리스트 요소를 문자열로 연결
  •  

예제: 함수 조합으로 문장 다듬기

text = "   Hello, Python!    "
result = text.strip().replace("Python", "World").upper()
print(result)  # HELLO, WORLD!

strip()으로 양쪽 공백 제거, replace()로 단어 변경, upper()로 대문자 변환!

이런 식으로 여러 함수를 체인처럼 이어쓰기가 가능해요.

실무에서도 문자열 정리는 거의 필수에요.

예를 들어

CSV 데이터 전처리, 사용자 입력 정리, HTML 텍스트 추출 등 다양한 곳에 쓰이죠.

지금 소개한 함수들만 제대로 익혀도 문자열 다루는 데 큰 무기가 될 거예요!

 

 

5. 문자열 다룰 때 꼭 알아야 할 팁과 주의사항 ⚠️

문자열은 파이썬에서 아주 자주, 아주 널리 쓰이는 데이터 타입이에요.

그런데 간단해 보이는 문자열도 조금만 실수하면 오류가 나거나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와서 당황하게 되죠.

지금부터는 문자열 다룰 때 꼭 주의해야 할 부분과 팁들을 정리해볼게요!

① 문자열은 '변경 불가능(immutable)'하다

문자열은 한 번 생성하면 값을 바꿀 수 없어요.

리스트처럼 특정 인덱스에 값을 직접 대입하려 하면 오류가 납니다.

text = "hello"
text[0] = "H"  # TypeError 발생!

대신 새로운 문자열을 만들어야 해요: text = "H" + text[1:]

② 줄바꿈 문자와 공백은 예외 없이 처리!

\n은 줄바꿈, \t은 탭.

눈에는 안 보이지만 존재하는 문자들이에요.

특히 사용자 입력 데이터에는 공백이 자주 섞여 있으니 strip() 필수!

user_input = "  yes\n"
print(user_input.strip())  # "yes"

③ 문자열 비교는 공백까지 포함해서!

"yes" == " yes " 는 False입니다!

문자열 비교 시에는 공백 제거와 대소문자 처리를 잊지 마세요.

a = "YES"
b = " yes "
print(a.lower() == b.strip().lower())  # True

④ 문자열 길이 체크는 len()으로!

입력값 유효성 검사, 조건 분기 등에 자주 쓰이는 len()은 정말 자주 쓰여요.

문자열이 비었는지도 len(s) == 0 또는 if not s:로 확인 가능해요.

문자열 다룰 때 실수 줄이는 팁 정리

상황
입력값 처리 strip(), lower() 함께 쓰기
특정 문자 포함 여부 'abc' in text로 확인
빈 문자열 검사 if not text: 또는 if text == ""

이런 사소한 실수 하나하나가 전체 코드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기도 해요.

문자열 다루는 건 단순히 문자를 다루는 게 아니라, 데이터를 다루는 기본기라는 걸 잊지 마세요!

 

 

6. 실전 예제와 함께하는 문자열 실습 💡

문법만 안다고 해서 끝이 아니죠.

실제로 손으로 코딩해보고, 문자열을 직접 다뤄보는 실습이 정말 중요해요.

이번엔 앞에서 배운 인덱싱, 슬라이싱, 포맷팅, 문자열 함수들을 종합해서 실전 예제를 만들어볼게요.

실무에서 자주 마주치는 시나리오로 구성했으니 꼭 연습해보세요!

예제 1️⃣: 사용자 입력값 정리하기

사용자 입력값에 공백이 섞여 있다면?

불필요한 공백 제거, 대소문자 통일은 기본 중의 기본!

raw_input = "   YES\n"
cleaned = raw_input.strip().lower()
print(cleaned)  # "yes"

예제 2️⃣: 주민등록번호에서 생년월일 추출

문자열 슬라이싱을 활용해 특정 위치의 정보만 뽑아볼게요.

rrn = "901231-1234567"
birth = rrn[:6]
gender_code = rrn[7]
print(f"생년월일: {birth}, 성별코드: {gender_code}")

예제 3️⃣: 파일 확장자 추출기

문자열 메서드 중 split()join()을 활용해서 파일 확장자를 추출해보세요.

filename = "report_final_2025.pdf"
ext = filename.split('.')[-1]
print(f"파일 확장자: {ext}")  # pdf

예제 4️⃣: 문자열 뒤집기

파이썬의 슬라이싱 기능만 알면 문자열을 손쉽게 뒤집을 수 있어요!

word = "hello"
reverse = word[::-1]
print(reverse)  # "olleh"

미션 🎯

다음 문자열을 활용해서 실습해보세요!

text = "   Learn Python Programming NOW!  "
  • 앞뒤 공백 제거하기
  • "NOW!" → "NOW"로 바꾸기
  • 모두 소문자로 바꾸기

이렇게 실습 예제들을 따라 하다 보면, 문자열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능력이 자연스럽게 길러질 거예요.

배운 내용을 코딩으로 반복 연습하는 게 가장 확실한 공부 방법이니까 꼭 해보세요!

 

 

마무리 ✨

지금까지 파이썬 문자열의 인덱싱, 슬라이싱, 포맷팅, 그리고 다양한 함수들을 차근차근 살펴봤습니다.

하나하나 별개로 보이지만, 실은 모두 연결된 하나의 흐름이라는 거, 느껴지셨나요?

문자열은 데이터 처리의 시작점이자 끝점이에요.

문자열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다는 건, 데이터를 내 마음대로 가공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실제 현업에서도 로그 분석, 사용자 입력 처리, CSV/JSON 파싱, API 응답 처리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문자열을 마주하거든요.

처음에는 index, slice, format, strip, replace, split 같은 함수들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어요.

하지만 여러 번 써보고, 실습해보고, 내 프로젝트에 적용해보면 어느새 익숙해질 거예요.

"함수는 외우는 게 아니라 써보는 것이다." 이 말, 꼭 기억해 주세요!

다음에는 파일 읽기, 정규표현식, 텍스트 전처리 등 더 재미있는 주제로 돌아올게요 😊

반응형
반응형

파이썬 자료형 완전 정복: 숫자형, 문자형, 불(bool) 이해하기

"숫자형이랑 문자형, 그리고 불 자료형까지, 이 3가지 개념만 확실히 잡아도 파이썬의 절반은 이해한 거예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파이썬을 처음 접하는 분들이 반드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할 핵심 개념, 바로 자료형(Data Type)에 대해 다뤄볼 거예요.

그 중에서도 가장 자주 사용되고, 초보자들이 혼동하기 쉬운 숫자형(Number), 문자형(String), 불형(Bool)에 초점을 맞춰 설명할게요.

자료형은 데이터를 다룰 때의 기본 재료 같은 거예요.

이 재료들이 어떻게 다르고, 언제 어떤 걸 써야 하는지 알면, 코딩이 훨씬 쉬워집니다!

그럼 지금부터 같이 알아볼까요? 😊

1. 숫자형(Number)의 모든 것 🧮

숫자형은 숫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정수, 소수(실수), 심지어 8진수나 16진수까지 표현할 수 있어요.

파이썬에서는 숫자형을 자동으로 구분해주기 때문에,

int(정수), float(실수), complex(복소수)로 나뉘며,

가장 기본적인 계산부터 과학 연산까지 다룰 수 있습니다.

① 숫자형 종류와 예시

자료형 예시 설명
정수형 (int) 10, -3, 0 소수점 없는 정수
실수형 (float) 3.14, -0.01, 1.0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
8진수 0o12 8진수 표현, 출력 시 10진수로 변환됨
16진수 0x1A 16진수 표현, 출력 시 10진수로 변환됨

② 숫자형 연산자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수학 연산자를 제공합니다.

대부분의 연산은 직관적이라서 계산기 쓰듯이 사용하면 돼요.

  • +: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실수)
  • //: 나눗셈 (몫)
  • %: 나머지
  • **: 제곱

③ 실습 예제 🎯

# 숫자형 예제
a = 10
b = 3

print(a + b)   # 13
print(a / b)   # 3.333...
print(a // b)  # 3
print(a % b)   # 1
print(a ** b)  # 1000

 

이처럼 숫자형 자료형은 계산, 반복문, 조건문 등 거의 모든 코드에 사용돼요.

그래서 반드시! 정확히 이해하고 자주 연습하는 게 중요합니다. 😉

 

 

2. 문자형(String)의 세계 ✍️

문자형은 문자, 단어, 문장을 다룰 때 사용하는 자료형이에요.

즉, 이름, 이메일 주소, 설명, 텍스트 등 글자 데이터를 처리할 때 꼭 필요하죠.

① 문자열 만들기

문자열은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로 감싸서 만들 수 있어요.

여러 줄을 쓰고 싶을 땐 """큰따옴표 3개""" 또는 '''작은따옴표 3개'''를 쓰면 됩니다.

msg1 = "Hello, Python!"
msg2 = '파이썬은 재밌어요!'
msg3 = """여러 줄도
이렇게 쓸 수 있어요."""

② 문자열 다루기 기초

  • + 연산자: 문자열 연결
  • * 연산자: 문자열 반복
  • len(): 문자열 길이
a = "Hello"
b = "World"
print(a + " " + b)     # Hello World
print(a * 3)           # HelloHelloHello
print(len(b))          # 5

③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문자열도 리스트처럼 인덱싱(indexing)슬라이싱(slicing)이 가능해요.

txt = "Python"
print(txt[0])     # P
print(txt[-1])    # n
print(txt[1:4])   # yth

④ 문자열 포맷팅 (formatting)

문자열 안에 변수나 값을 넣고 싶을 땐 format() 또는 f-string을 사용해요.

name = "철수"
age = 25

# format()
msg = "이름은 {}이고 나이는 {}세입니다.".format(name, age)

# f-string
msg2 = f"이름은 {name}이고 나이는 {age}세입니다."

print(msg)
print(msg2)

 

문자형 자료형은 사용자 입력 처리, 출력 포맷 설정, 텍스트 조작 등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 쓰여요.

초보일수록 자주 연습하고 다양한 함수를 직접 써보는 게 중요하죠!

 

 

3. 불(bool)형, 참과 거짓의 판단자 ⚖️

불 자료형은 프로그래밍에서 참(True)거짓(False)을 나타내는 아주 중요한 자료형이에요.

조건문, 반복문, 제어문 등 논리적인 판단이 필요한 거의 모든 부분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돼요.

① 불형의 기본

  • True: 참 (1과 같음)
  • False: 거짓 (0과 같음)
a = True
b = False

print(type(a))   # <class 'bool'>
print(3 > 1)     # True
print(5 == 10)   # False

② bool() 함수

bool() 함수는 주어진 값을 참(True) 또는 거짓(False)으로 변환해주는 함수예요.

이걸 이용하면 어떤 값이 '비어 있는지', '0인지 아닌지' 쉽게 판단할 수 있어요.

print(bool(1))         # True
print(bool(0))         # False
print(bool("hello"))   # True
print(bool(""))        # False
print(bool([]))        # False
print(bool([1, 2]))    # True

③ 조건문에서의 활용

불형은 조건문(if)과 함께 사용되면 진가를 발휘해요.

조건이 참이면 실행, 거짓이면 건너뛰는 방식이죠.

score = 85

if score >= 90:
    print("A등급입니다.")
elif score >= 80:
    print("B등급입니다.")
else:
    print("C등급 이하입니다.")

④ bool이 중요한 이유?

불 자료형은 결정적인 분기점을 만들어주는 도구예요.

예를 들어

로그인 상태인지 아닌지, 파일이 비어 있는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등을 판단할 때 모두 bool을 써요.

즉, "할까 말까를 판단하는 역할"이 바로 bool인 거죠.

초보자일수록 if문 안에 뭐가 True고 뭐가 False인지 확실히 감을 잡는 게 중요해요. 😊

 

 

4. 숫자형 vs 문자형 vs 불형 비교 🆚

지금까지 배운 숫자형, 문자형, 불형은 모두 파이썬에서 기본 중의 기본 자료형이에요.

하지만 가끔은 이 세 가지가 헷갈릴 수도 있고, 어떤 걸 써야 할지 고민될 수 있죠.

그래서 한눈에 비교할 수 있게 정리해봤어요!

① 기본 비교표

구분 숫자형(Number) 문자형(String) 불형(Bool)
용도 수학 계산, 반복문 텍스트 저장, 메시지 출력 조건 판단, 흐름 제어
형식 정수, 실수 큰따옴표/작은따옴표 True, False
예시 10, 3.14 "Hello", 'Python' 3 > 2 → True
연산 +, -, *, /, ** 등 +, *, len(), format() 논리 연산자 (and, or, not)

② 이런 실수 하지 마세요! 😅

  • 숫자와 문자열을 덧셈하려고 할 때 "10" + 2 → 에러!
  • 불형(True/False)을 문자처럼 출력하려고 할 때 큰따옴표 안에 써야 함
  • if 조건에서 숫자 0, 빈 문자열 "", 빈 리스트 []는 모두 False로 인식됨

자료형 간의 차이점과 용도를 명확히 아는 것만으로도 코딩 실수가 확 줄어들어요.

초보자일수록 눈에 보이도록 비교표를 만들어보는 습관도 아주 좋아요! 👀

 

 

5. 실습 예제로 완전 정복하기 💪

이제 이론은 충분히 살펴봤으니, 실습으로 확실히 익혀볼 시간이에요!

아래 실습 예제는 숫자형, 문자형, 불형을 모두 활용해서 실전처럼 코딩해보는 예제입니다.

꼭 직접 따라 해보세요! 🔍

① 실습 1: 나이 계산 프로그램

# 사용자 입력 받기
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birth_year = int(input("출생 연도를 입력하세요: "))

# 나이 계산
current_year = 2025
age = current_year - birth_year

# 결과 출력
print(f"{name}님의 나이는 {age}세입니다.")

 

이 예제에서는 문자형으로 입력받은 이름과 숫자형으로 나이를 계산하고, f-string을 통해 멋지게 출력하고 있어요!

② 실습 2: 합격 여부 판단

score = int(input("시험 점수를 입력하세요: "))
is_passed = score >= 60

if is_passed:
    print("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
else:
    print("아쉽지만 불합격입니다 😢")

 

is_passed불형(bool)으로 처리되어 조건문에 바로 활용되고 있어요.

논리적 판단이 필요한 경우 이렇게 불형을 쓰면 코드가 깔끔하고 직관적이에요!

③ 실습 3: 문자열 조작 퀴즈

text = input("아무 문장이나 입력해보세요: ")

print("총 글자 수:", len(text))
print("앞 5글자:", text[:5])
print("모두 대문자로:", text.upper())
print("Python이라는 단어 포함 여부:", "Python" in text)

 

이 실습은 문자형 함수불형 연산을 함께 쓰는 좋은 예예요.

특히 in 키워드를 통해 특정 문자열 포함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죠!

④ 정리

  • 숫자형은 연산과 반복에 강하다!
  • 문자형은 입력, 출력, 메시지 처리에 필수!
  • 불형은 흐름 제어와 조건 판단의 핵심!

이 세 가지 자료형만 잘 익혀도 파이썬 기초를 완전히 꿰뚫었다고 할 수 있어요.

이제 여러분도 자신 있게 실습에 도전해보세요! 😎

 

 

마무리 🧠

여기까지 따라오신 여러분,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

오늘 우리가 함께 배운 내용은 파이썬의 가장 핵심적인 자료형 3가지였어요

숫자형(Number),

문자형(String),

불형(Bool).

 

이 세 가지는 파이썬뿐 아니라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도 공통적으로 존재하고, 아주 자주 사용돼요.

처음엔 낯설고 어려울 수 있지만, 코드를 직접 작성하고 실행해보면 어느 순간 자연스럽게 '아~ 이럴 때 숫자형을 쓰는구나', '문자형은 이렇게 조작하는 거구나' 하고 감이 오기 시작할 거예요.

 

앞으로 조건문, 반복문, 함수, 클래스 등 더 복잡한 개념을 배우더라도 자료형이 기초가 되어야 모든 것이 연결되니까요.

그러니까 지금 배운 내용을 자주 복습하고, 실습을 반복하는 습관을 꼭 들이시길 바랍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더 유익한 내용으로 다시 만나요 😊

반응형
반응형

파이썬에서 변수란?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개념 정리

파이썬 공부를 시작했는데 ‘변수’부터 헷갈린다면? 괜찮아요! 오늘 이 글로 완전히 정리됩니다.

 

 

안녕하세요, 개발 입문자 여러분 😊
프로그래밍을 배우다 보면 가장 먼저 만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변수"입니다.

파이썬에서는 이 변수가 조금 특별한 방식으로 동작하죠.

"파이썬에서 변수는 값이 아니라 '객체를 가리킨다"는 말,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부담 없이 이해할 수 있도록, 파이썬 변수의 개념을 차근차근 예제와 함께 설명드릴게요.

코딩을 처음 시작하셨거나, 변수 개념이 모호하셨다면 지금부터 꼭 집중해 주세요!

1. 변수란 무엇인가요? 🧠

변수(variable)는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를 담는 그릇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어떤 값을 저장해 두었다가 나중에 다시 꺼내 쓸 수 있게 해주는 도구죠.

예를 들어,

숫자 3을 저장해두고 계속 계산에 써야 할 때, 이 숫자를 변수에 넣어두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하지만!

파이썬에서 변수는 단순히 값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 역할을 합니다.

이 점이 C나 Java 같은 언어와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예요.

파이썬 변수의 개념 핵심 요약

  • 변수는 메모리 상의 객체를 가리키는 이름표이다.
  • 변수에는 값이 직접 저장되지 않고, 객체의 주소(ID)만 저장된다.
  • id() 함수를 이용하면, 어떤 객체를 가리키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제: 변수와 객체의 관계

a = [1, 2, 3]
b = a
print(id(a))
print(id(b))

위 예제에서 a는 리스트 [1, 2, 3]을 가리키고, b = a를 통해 b도 같은 리스트를 가리키게 됩니다.

id() 함수를 이용해 둘의 주소를 출력하면 같은 값이 출력돼요.

즉, 같은 객체를 공유하고 있다는 뜻이죠!

💡 왜 이걸 알아야 할까요?

리스트나 딕셔너리처럼 가변 객체를 변수에 할당하고, 복사할 때 주의하지 않으면 원치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구조를 이해하면 앞으로 코드를 짤 때 훨씬 수월해져요.

항목 설명
변수 객체의 주소(ID)를 저장하는 이름표
객체 실제 데이터 값 (예: 숫자, 문자열, 리스트 등)
id() 변수가 가리키는 객체의 메모리 주소 반환 함수

이제 변수는 단순히 값을 넣는 그릇이 아니라, 객체를 가리키는 개념이라는 사실을 확실히 이해하셨죠? 😊

다음 파트에서는 파이썬 변수의 작동 방식과 동작 원리에 대해 더 깊이 파고들어 볼게요.

 

 

2. 파이썬 변수의 작동 방식 🔍

변수에 대한 개념을 이해했다면 이제 궁금해지죠.

파이썬은 내부적으로 변수를 어떻게 처리할까?
자바나 C언어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데이터 타입도 함께 지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파이썬은 그럴 필요가 없죠.

왜냐하면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을 지원하는 언어이기 때문이에요.

파이썬의 변수 처리 과정 요약

  1. 값이 생성되면 파이썬은 객체(Object)를 메모리에 만들어요.
  2. 해당 객체는 id 값을 가지며, 메모리 주소로 관리됩니다.
  3. 변수는 그 객체를 참조(reference)하는 방식으로 연결돼요.
  4. 동일한 값을 갖는 객체는 재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숫자형, 문자열 등 불변 객체의 경우).

예제: 객체 재사용 확인하기

a = 100
b = 100
print(id(a))
print(id(b))
print(a is b)  # True

위 코드를 보면 변수 ab에 같은 값을 할당했을 뿐인데,

id 값도 같고 a is bTrue를 반환하죠.

파이썬은 메모리 낭비를 줄이기 위해 동일한 불변 객체는 내부적으로 하나만 만들어 공유하게끔 설계되어 있습니다.

📌 '불변 객체'와 '가변 객체' 차이

불변 객체 (Immutable) 가변 객체 (Mutable)
정수(int), 실수(float), 문자열(str), 튜플(tuple) 리스트(list), 딕셔너리(dict), 집합(set)
값 변경 불가 값 변경 가능
객체 자체가 바뀌면 새로운 주소 객체 주소는 동일하지만 내부 값이 바뀜

🧠 꼭 기억하세요!

파이썬에서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객체의 특성(가변/불변)에 따라 변수 간의 관계도 달라져요.

이런 개념을 알고 있으면 버그도 줄고, 코드를 이해하는 속도도 훨씬 빨라진답니다.

 

 

3. 변수 선언과 할당 방법 ✏️

파이썬에서 변수를 선언하는 방식은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매우 간단합니다.

다른 컴파일 언어와 같이 복잡한 자료형 지정도 필요 없고, var 같은 키워드도 필요 없어요.

 

그냥 변수이름 = 값 형태로 작성하면 끝이에요!

기본 변수 할당 방식

x = 10
name = "Alice"
is_happy = True

위처럼 = 기호를 사용해 값을 대입하면, 해당 값에 맞는 자료형이 자동으로 결정돼요.

정수는 int, 문자열은 str, 논리값은 bool처럼 말이죠.

동시에 여러 변수 선언하기

a, b, c = 1, 2, 3

파이썬에서는 여러 개의 변수를 한 줄에 동시에 선언할 수도 있어요.

위 예제에서 a = 1, b = 2, c = 3이 동시에 실행됩니다. 아주 유용한 문법이에요!

같은 값을 여러 변수에 할당하기

x = y = z = 100

이 코드는 x, y, z라는 세 개의 변수가 모두 100이라는 같은 객체를 참조하게 만들어 줍니다.

실제로 id(x), id(y), id(z)를 출력해보면 모두 같은 값이 나올 거예요.

변수 이름 규칙 꼭 기억하세요!

  • 알파벳, 숫자, 밑줄(_)만 사용할 수 있어요.
  •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됩니다. 예: 123abc
  • 예약어는 변수명으로 사용 불가! (예: class, def, if 등)

👀 팁 하나!

파이썬에서 변수 이름을 지을 땐 snake_case를 쓰는 것이 보통입니다.

예: user_name, total_price처럼요.

가독성도 좋고, 커뮤니티에서도 널리 사용되죠.

 

 

4. 변수와 객체 ID의 관계 🔗

파이썬 변수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객체의 주소(ID)를 참조한다는 점이에요.

즉, 변수는 데이터를 직접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리 어딘가에 저장된 객체를 가리키고 있을 뿐이죠.

id() 함수로 객체 확인하기

a = [1, 2, 3]
b = a
print(id(a))
print(id(b))
print(a is b)  # True

위 코드에서 ab같은 리스트 객체를 참조합니다.

id() 함수는 메모리 상에서 객체가 실제로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도구예요.

두 값이 같다면, 두 변수는 같은 객체를 가리키고 있다는 의미랍니다.

🔄 리스트 복사와 ID 

리스트를 복사할 때는 얕은 복사(shallow copy)깊은 복사(deep copy)를 구분해야 해요.

다음 예제를 살펴볼게요.

a = [1, 2, 3]
b = a          # 같은 객체
c = a[:]       # 새로운 객체 (얕은 복사)
import copy
d = copy.deepcopy(a)  # 새로운 객체 (깊은 복사)

print(id(a), id(b))  # 동일
print(id(a), id(c))  # 다름
print(id(a), id(d))  # 다름

b = a는 같은 객체를 가리키고 있어서 ID가 동일하지만, cd는 새로운 객체이기 때문에 ID가 달라요.

이 차이를 모르면, 복사한 리스트를 수정했을 때 원본까지 바뀌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is 연산자 vs == 연산자

연산자 의미 비교 대상
== 값(value)이 같은지 비교 내용
is 객체 ID(주소)가 같은지 비교 객체 자체

예제 확인!

x = [1, 2, 3]
y = [1, 2, 3]
print(x == y)  # True
print(x is y)  # False

리스트 xy는 내용은 같지만, 서로 다른 객체이기 때문에 isFalse를 반환합니다.

이처럼 파이썬에서는 변수와 객체의 연결 관계를 이해하는 게 아주 중요하죠!

 

 

5. 변수 복사 개념 이해하기 📦

변수 복사는 파이썬 초보자에게 가장 혼란스러운 개념 중 하나예요.

"복사했는데 원본까지 바뀌는 거 뭐야?"라는 말, 한 번쯤 해보셨죠? 😅
그 이유는 바로 파이썬 변수는 객체의 참조(주소)를 복사하기 때문이에요.

변수 복사의 종류

종류 설명 특징
할당 (=) 주소(참조)를 복사 같은 객체를 가리킴
얕은 복사 객체 복사, 내부 참조는 공유 1단계만 복사
깊은 복사 전체 구조 복사 (내부 객체까지) 완전히 독립된 객체

예제: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의 차이

import copy

a = [[1, 2], [3, 4]]

b = a              # 참조 복사
c = a[:]           # 얕은 복사
d = copy.deepcopy(a)  # 깊은 복사

a[0][0] = 100

print(b)  # [[100, 2], [3, 4]]
print(c)  # [[100, 2], [3, 4]]
print(d)  # [[1, 2], [3, 4]]

놀랍게도 a의 값을 바꾸자 bc도 같이 바뀌었죠?

그 이유는 얕은 복사는 내부 리스트까지는 복사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반면 d는 완전히 독립된 객체이기 때문에 변하지 않았어요.

🚨 잠깐! 이런 실수 조심하세요

  • 단순히 =로 복사하면 원본과 연결된 상태가 된다.
  • 리스트 안에 리스트(중첩 구조)일 때는 얕은 복사도 위험할 수 있다.

이런 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리스트나 딕셔너리를 다룰 때 예상치 못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요.

특히 함수 인자로 리스트를 넘길 때 이런 문제가 자주 발생하니 꼭 기억해두세요!

 

 

6. 튜플, 여러 변수 할당까지 한 번에 정리 ✅

파이썬에서는 한 번에 여러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기능이 아주 강력하고 편리합니다.

특히 튜플(tuple)과 함께 쓰면 더욱 직관적이죠.

이건 실제로도 아주 많이 쓰이는 문법이에요!

튜플을 활용한 다중 할당

x, y = (10, 20)
print(x)  # 10
print(y)  # 20

위 코드는 사실상 x, y = 10, 20과 같은 의미입니다.

파이썬에서는 괄호를 생략해도 자동으로 튜플로 인식해요.

이걸 packing/unpacking이라고 합니다.

변수 값 맞바꾸기 (swap)

a = 1
b = 2
a, b = b, a
print(a, b)  # 2 1

놀랍게도 temp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도 두 변수의 값을 한 줄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이건 다른 언어에선 찾아보기 힘든 파이썬만의 유니크한 매력 포인트예요!

📦 packing과 unpacking 이해하기

packing은 여러 값을 하나의 변수에 묶는 것이고,

unpacking은 그 값을 여러 변수에 풀어주는 거예요.

# Packing
data = (1, 2, 3)

# Unpacking
x, y, z = data

이 문법을 알면 함수에서 여러 값을 리턴하고, 받는 쪽에서 나눠 받기도 쉬워집니다.

아래 예제를 볼까요?

def get_user():
    return "Alice", 25

name, age = get_user()
print(name)  # Alice
print(age)   # 25

👀 한눈에 보는 핵심 요약

  • 여러 변수에 한 번에 값 할당 가능 (튜플, 리스트 사용)
  • 변수 스왑도 한 줄로 가능
  • 함수에서 여러 값 반환하고 받기 쉽게 만들어줌

 

이제 튜플과 변수 다중 할당 문법까지 마스터하셨습니다!

여기까지 오셨다면 파이썬 변수에 대해 한층 깊이 있는 이해를 갖추셨다고 할 수 있어요 😊

 

변수는 프로그래밍의 뿌리와도 같은 개념입니다.

특히 파이썬은 다른 언어들과는 다르게 "값이 아닌 객체를 참조"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처음에는 다소 헷갈릴 수 있어요.

하지만 그 구조를 한 번 이해하고 나면 파이썬의 모든 데이터 처리 방식이 눈에 확 들어오기 시작합니다.

오늘 함께 알아본 내용들을 실제 코드에 적용해 보면서 연습해 보세요.

변수의 선언, 할당, 복사, 참조 구조 등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코딩해보는 경험은 지식보다 훨씬 오래 남습니다.😉

"변수를 이해한다는 건, 곧 파이썬이라는 언어를 깊이 이해하는 첫걸음"이라는 점, 꼭 기억해 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파이썬 개발환경 구축 완벽 가이드 (2025 최신판)

처음 파이썬을 배우려는데, 설치부터 뭐가 이렇게 많아?
VSCode? 파이참?
뭐가 뭔지 모르겠다면 이 글 하나면 끝!

 

 

안녕하세요 😊

요즘 AI 열풍 덕분에 많은 분들이 파이썬에 입문하고 있죠?

그런데 막상 시작하려면

"뭘 설치해야 하지?",

"어디서 코드 쓰지?",

"VSCode랑 파이참 중에 뭘 써야 해?"

같은 고민이 생기곤 합니다. 저도 처음엔 그랬어요.

그래서 이 글에서는 파이썬 설치부터 VSCode 같은 개발 도구 설정, 첫 실행까지 아주 친절하고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단순히 설치하는 것에서 끝나는 게 아니라, 왜 그 도구를 쓰는지, 어떤 걸 선택하면 좋은지, 실전 팁도 함께 나눌게요!

그럼 지금부터 파이썬 개발환경 구축, 저와 함께 하나씩 해볼까요? 🐍

1. 파이썬이란? 그리고 왜 배우는가 🐍

파이썬(Python)은 1990년,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라는 개발자에 의해 태어났어요.

그런데 왜 갑자기 이렇게 파이썬이 인기일까요?

이유는 아주 간단해요. 쉽고, 강력하고, 뭐든지 할 수 있기 때문이죠.

💡 파이썬의 특징 한눈에 보기

  • 사람처럼 읽기 쉬운 문법: 마치 영어처럼 읽히는 코드, 그래서 배우기 쉽습니다.
  • 오픈소스 & 무료: 누구나 자유롭게 다운로드하고 수정해서 쓸 수 있어요.
  •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 웹,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게임 개발, IoT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돼요!

📊 파이썬으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일들

분야 활용 예시
웹 개발 Django, Flask로 웹사이트와 API 서버 구축
데이터 분석 Pandas, Numpy, Matplotlib로 통계 분석 및 시각화
AI & 머신러닝 TensorFlow, PyTorch, Scikit-learn 등으로 모델 개발
자동화 엑셀 자동화, 웹 크롤링, 시스템 제어 스크립트 작성

자, 이제 파이썬이 왜 이렇게 인기 있는지 조금은 감이 오셨죠?

 

그럼 이제 실제로 설치해볼까요?

다음 챕터에서 윈도우와 맥에서의 설치 방법을 소개할게요!

 

 

2. 운영체제별 파이썬 설치 방법 (Windows/Mac) 💻🍎

파이썬은 운영체제에 따라 설치 방법이 조금씩 다릅니다.

다행히도 공식 홈페이지에서 모든 운영체제용 설치 파일을 제공하니, 큰 걱정은 마세요!

이번 파트에서는 윈도우와 맥 사용자를 위한 설치 방법과 팁을 하나하나 짚어볼게요.

🪟 Windows에서 파이썬 설치하는 법

  1. 공식 홈페이지 python.org/downloads 에 접속합니다.
  2. 상단에 보이는 Download Python 3.x.x 버튼 클릭! 최신 버전일수록 좋아요.
  3. 설치 도중 꼭 "Add Python to PATH" 체크박스를 클릭하세요! 이걸 안 하면 터미널에서 명령어가 안 먹어요.
  4. 그 다음 [Install Now] 클릭 후 설치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면 끝.
 

Download Python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 설치 후, cmd를 열어 python --version 또는 python 입력했을 때 파이썬 인터프리터가 실행되면 정상 설치입니다!

🍏 Mac에서 파이썬 설치하는 법

  1. 역시 python.org에서 맥용 설치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2. 다운로드한 .pkg 파일을 더블 클릭하여 설치를 시작하세요.
  3. 기본 설치 경로로 진행해도 무방하며, 몇 분 안에 설치 완료됩니다.
  4. 설치가 끝나면 터미널을 열고 python3 --version 또는 python3 명령어로 확인하세요.
 

Download Python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 Mac에서는 python 대신 python3 명령어를 사용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 설치 확인 Tip

  • python 또는 python3 입력 시 파이썬 인터프리터 진입 여부 확인
  • pip --version으로 pip 설치 확인 (패키지 관리자)

이제 파이썬이 내 컴퓨터에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했어요!

다음 단계에서는 코드를 쓸 에디터를 골라볼 거예요.

요즘 제일 인기 있는 Visual Studio Code, 한 번 제대로 설정해볼까요?

 

 

3. VSCode 설치 및 파이썬 개발환경 설정 🧑‍💻

파이썬 설치를 마쳤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개발을 위한 편집기를 설치해볼 차례입니다.

가장 널리 쓰이는 편집기 중 하나가 바로 VSCode (Visual Studio Code)입니다.

무료이고, 가볍고, 확장 기능도 풍부해서 파이썬 입문자부터 프로까지 애용하고 있죠.

🛠️ VSCode 설치 방법

  1. 공식 웹사이트 code.visualstudio.com 에 접속합니다.
  2.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3. 설치 후 실행하면 첫 화면에 다양한 확장 기능(Extensions)을 추가할 수 있는 메뉴가 보여요.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redefines AI-powered coding with GitHub Copilot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 파이썬 개발을 위한 필수 확장 기능 설치

  • Python – Microsoft에서 만든 공식 확장 기능. 필수입니다!
  • Jupyter – 노트북 스타일의 코딩에 적합. 데이터 분석할 땐 거의 필수예요.
  • Pylance – 코드 자동완성과 타입 힌트 기능 강화에 아주 좋아요.

⚙️ VSCode에서 파이썬 인터프리터 설정

설치한 파이썬을 VSCode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때가 있어요.

그럴 땐 아래처럼 설정해 주세요.

  1. VSCode 왼쪽 하단의 Python Interpreter 영역 클릭
  2. 설치된 파이썬 버전 선택 (보통 python3.x)
  3. Ctrl + Shift + P → ‘Python: Select Interpreter’ 명령어로 직접 검색 가능

이제 코드를 짜면 바로바로 실행되고, 오류도 알려주고, 자동완성까지 되는 완벽한 파이썬 코딩 환경이 준비된 거예요!

다음은 파이썬을 위한 또 다른 강력한 개발 도구, PyCharm과의 비교입니다.

어떤 걸 써야 할지 고민된다면 꼭 읽어보세요.

 

 

4. VSCode vs 파이참, 어떤 에디터가 좋을까? 🔍

"VSCode랑 PyCharm 중에 뭐가 더 좋아요?"

파이썬을 배우기 시작하면 정말 많이 듣는 질문이죠.

둘 다 훌륭한 도구지만 용도와 성격이 다릅니다.

이 부분을 제대로 이해하고 나면 자신에게 맞는 도구를 선택할 수 있어요.

🔧 에디터 비교표

항목 VSCode PyCharm
설치 용량 가벼움 (100~200MB) 무거움 (400MB 이상)
속도 빠름 느림
초보자 친화도 간단하고 직관적 기능이 많아 초반엔 복잡할 수 있음
기능 확장성 확장 프로그램 설치로 무한 확장 가능 파이썬에 특화된 기능 기본 제공
추천 용도 가벼운 프로젝트, 웹 개발 데이터 분석, 대형 프로젝트

🧠 어떤 도구가 더 좋을까?

  • 처음 파이썬을 배우는 분이라면 → VSCode 추천! 설치가 간편하고 배우기 쉬워요.
  • AI나 데이터 분석 중심이라면 → PyCharm도 좋은 선택이에요. 특히 Jupyter 노트북을 자주 쓰는 분께 딱!

결론은 이거예요.

정답은 없어요. 둘 다 설치해서 써보다가, 내 스타일에 맞는 걸 골라 쓰는 게 최고!

어차피 코드는 똑같이 잘 돌아갑니다 😉

자, 이제 환경도 준비됐으니… 첫 코딩, 해볼까요?

 

 

5. 나만의 첫 번째 파이썬 코드 실행하기 🎉

드디어 왔습니다!

지금까지 설치하고 설정한 개발 환경을 이용해서 내 인생 첫 번째 파이썬 코드를 작성해볼 시간이에요.

이 순간, 처음으로 ‘코딩’이라는 마법 같은 작업을 경험하게 될 거예요.

설레죠? 저도 그랬어요 😊

📁 새 파일 생성하기 (hello.py)

  1. VSCode를 실행하고, 빈 폴더를 열어주세요.
  2. 왼쪽 상단에서 새 파일을 클릭하고, 파일명을 hello.py로 저장하세요.

👩‍💻 첫 번째 코드 작성

print("안녕하세요, 파이썬 세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 한 줄, 정말 강력합니다.

화면에 문장을 출력하는 가장 기본적인 파이썬 코드예요.

프로그래밍의 기본인 print() 함수는 앞으로 수도 없이 만나게 될 거예요.

▶️ 코드 실행하기

  • 1) 우측 상단 ▶ 버튼 클릭 → 설치된 파이썬 인터프리터를 이용해 실행
  • 2) 터미널에서 직접 실행: python hello.py 또는 python3 hello.py 입력

🎯 실행 결과

안녕하세요, 파이썬 세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단순한 사용자에서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코드 한 줄을 직접 작성하고 실행시켰다는 건 엄청난 진전이에요!

 

물론 처음부터 막히는 부분도 생길 수 있어요. 다음 파트에서는 처음 파이썬을 시작할 때 자주 만나는 오류와 그 해결법을 안내할게요. 괜찮아요, 누구나 실수하면서 배우는 거니까요!

 

 

마무리 ✨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여러분은 이미 파이썬 세계로 한 걸음 내딛은 겁니다!

개발 환경을 직접 구축하고, 에디터를 설치하고, 첫 코드를 실행하는 이 여정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에요.

이제부터는 어떤 프로젝트든 시작할 수 있는 기초 체력이 생긴 셈입니다.

 

앞으로 데이터 분석, 웹 개발, 인공지능, 자동화 등 파이썬을 활용할 수 있는 수많은 분야가 여러분 앞에 펼쳐질 거예요.

이번 글이 그 여정을 시작하는 데 든든한 출발점이 되었길 바랍니다.

 

지금 당장은 작고 단순한 코드라도 괜찮아요.

꾸준히, 천천히, 확실하게. 코딩 실력은 그렇게 쌓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실전 예제를 통해 변수와 자료형, 조건문, 반복문 등 기초 문법을 하나씩 다뤄볼게요!

 

파이썬 개발환경 설치 : 파이참(PyCharm) 설치와 메뉴 완전 정복 🧑‍💻

https://firstcoding-net.tistory.com/83

 

파이썬 개발환경 설치: 파이참(PyCharm) 설치와 메뉴 완전 정복

파이썬 개발환경 설치: 파이참(PyCharm) 설치와 메뉴 완전 정복 🧑‍💻처음 파이썬 코딩을 시작하려는데 뭘 깔아야 할지 막막하셨나요? 개발자들이 강력 추천하는 PyCharm(파이참) 설치와 활용법을

firstcoding.net

 

반응형
반응형

Python으로 무엇을 할 수 있나? 활용 분야 총정리

혹시 파이썬을 단순히 '코딩 연습용 언어'쯤으로만 생각하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놀라지 마세요. 파이썬은 생각보다 훨씬 더 많은 걸 해낼 수 있는 언어입니다!

 

 

안녕하세요, 파이썬에 관심 있는 모든 분들 반갑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으로 할 수 있는 일들에 대해 구체적이고 실전적인 예시와 함께 소개해 드리려 해요.

"파이썬이 대체 뭐가 그렇게 좋길래 사람들이 다 배우라고 하는 걸까?" 이런 궁금증이 있으셨다면, 이번 포스팅이 딱!입니다.

실제로 구글, 넷플릭스, 인스타그램처럼 우리도 매일 사용하는 서비스들조차 파이썬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초보자도 빠르게 배울 수 있으면서,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웹 개발까지 모두 가능한 언어, 바로 Python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파이썬으로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하나씩 알아볼까요?

1. 웹 개발: Django, Flask, FastAPI로 웹 서비스 만들기

파이썬을 활용한 웹 개발은 정말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어요.

그 중심에는 Django, Flask, FastAPI라는 세 가지 강력한 웹 프레임워크가 있습니다.

각각의 목적과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무나 프로젝트 경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죠!

🔹 Django: 빠르고 강력한 웹 프레임워크

https://www.djangoproject.com/

 

Django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

www.djangoproject.com

https://docs.djangoproject.com/ko/5.2/

 

Django 문서 | Django documentation

The web framework for perfectionists with deadlines.

docs.djangoproject.com

 

Django는 "배터리 포함" 철학을 가진 풀스택 웹 프레임워크입니다.

관리 패널, ORM, 보안 기능 등이 모두 내장되어 있어 웹 서비스를 빠르게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어요.

  • MTV 패턴 기반 구조 (Model-Template-View)
  • 강력한 ORM과 인증 시스템 제공

🔸 Flask: 가볍고 유연한 마이크로 프레임워크

https://flask.palletsprojects.com/

 

https://flask-docs-kr.readthedocs.io/ko/latest/

 

Flask는 Django보다 훨씬 가볍고 단순한 웹 프레임워크로,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롭습니다.

API 서버나 간단한 웹 서비스를 만들기에 아주 좋아요.

from flask import Flask
app = Flask(__name__)

@app.route('/')
def hello():
    return "Hello from Flask!"

⚡ FastAPI: 초고속 비동기 API 서버 개발

https://fastapi.tiangolo.com/ko/

 

FastAPI

FastAPI framework, high performance, easy to learn, fast to code, ready for production

fastapi.tiangolo.com

 

FastAPI는 비동기 처리를 지원하면서도 자동 문서화(Swagger UI 등), 타입 기반 검증 등 최신 웹 기술이 반영된 고성능 API 프레임워크입니다.

머신러닝 모델 서빙, 대규모 API 서버 구축에 특히 많이 사용돼요.

from fastapi import FastAPI
app = FastAPI()

@app.get("/")
async def read_root():
    return {"message": "Hello from FastAPI!"}

🚀 세 프레임워크 비교

프레임워크 특징 추천 용도
Django 풀스택, 기본 기능 내장 대규모 웹 서비스
Flask 마이크로, 가벼움 작은 웹 앱, 학습용
FastAPI 비동기, API 전용 최적화 AI 서빙, 고속 API

정리하자면,

Django는 대규모 서비스를 빠르게 만들고 싶을 때,

Flask는 유연하게 설계하고 싶을 때,

FastAPI는 고성능 API 서버가 필요할 때 선택하면 좋아요.

상황에 따라 이 셋을 조합해서 쓰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PyTorch, TensorFlow 활용

파이썬 = 인공지능의 언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

요즘 가장 핫한 분야 중 하나인 AI(인공지능)머신러닝 개발에 파이썬이 거의 표준처럼 사용되고 있어요.

그 이유는?

바로 간단한 문법 + 강력한 라이브러리 조합 덕분이죠.

🧠 PyTorch & TensorFlow: 대표적인 AI 프레임워크

AI 개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두 가지 프레임워크는 TensorFlowPyTorch입니다.

두 라이브러리 모두 딥러닝 모델을 설계하고 학습시키는 데 특화되어 있어요.

그럼 간단한 비교부터 볼까요?

항목 TensorFlow PyTorch
출시 구글 (2015) 페이스북 (2016)
특징 정적 그래프, 배포 용이 동적 그래프, 직관적인 코드
추천 대상 산업용, 대규모 모델 연구용, 직관적 실험

✨ 파이썬 AI 개발의 인기 이유

  • 풍부한 라이브러리 (scikit-learn, OpenCV, Keras 등)
  •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실험
  • 커뮤니티가 엄청나게 활발! (문제 해결 쉬움)

🔍 실전 예: PyTorch로 간단한 선형회귀

import torch
import torch.nn as nn

# 학습 데이터
x = torch.tensor([[1.0], [2.0], [3.0]])
y = torch.tensor([[2.0], [4.0], [6.0]])

# 모델 정의
model = nn.Linear(1, 1)

# 손실 함수와 옵티마이저
criterion = nn.MSELoss()
optimizer = torch.optim.SGD(model.parameters(), lr=0.01)

# 학습
for epoch in range(100):
    pred = model(x)
    loss = criterion(pred, y)
    optimizer.zero_grad()
    loss.backward()
    optimizer.step()

print("예측 결과:", model(torch.tensor([[4.0]])))

위 코드는 PyTorch로 만든 아주 기본적인 선형 회귀 모델입니다.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4일 때의 y값을 예측하게 됩니다.

이처럼 파이썬은 AI 실습을 하기 위해 정말 훌륭한 도구예요.

결론적으로, AI와 파이썬은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머신러닝 입문자부터 전문가까지 모두가 쓰는 언어, 바로 Python이에요!

 

 

4. GUI 프로그래밍: Tkinter, PyQt, 그 외 다양한 도구

여러분, 웹이 아닌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도 파이썬으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엑셀 자동화 툴, 이미지 변환기, 메모 앱 같은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윈도우에서 실행 가능하게 만들 수 있어요.

그 중심에는 바로 GUI 라이브러리들이 있습니다.

🔸 Tkinter: 파이썬 표준 GUI 라이브러리

Tkinter는 파이썬에 내장된 GUI 라이브러리로, 별도의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요.

작은 프로젝트에 적합하고, 문법도 간단해서 입문용으로 많이 쓰입니다.

import tkinter as tk

root = tk.Tk()
root.title("간단한 GUI")

label = tk.Label(root, text="안녕하세요!")
label.pack()

root.mainloop()

이렇게 간단한 코드만으로도 텍스트 라벨이 포함된 창을 만들 수 있어요.

단순한 유틸리티 앱이라면 Tkinter 하나만으로도 충분합니다.

🖼️ PyQt: 전문가급 데스크탑 애플리케이션 제작

PyQt는 C++ 기반의 강력한 프레임워크인 Qt를 파이썬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라이브러리예요.

디자인이 세련되고, 이벤트 처리도 정교하게 다룰 수 있어 상용급 GUI 앱 개발에 자주 사용됩니다.

from PyQt5.QtWidgets import QApplication, QLabel

app = QApplication([])
label = QLabel('Hello from PyQt!')
label.show()

app.exec_()

PyQt는 버튼, 입력창, 탭, 테이블, 그래프까지 모든 GUI 컴포넌트를 지원해요.

Qt Designer라는 GUI 에디터까지 활용하면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화면을 디자인할 수도 있답니다!

🧩 그 외에도 다양한 GUI 프레임워크들

  • Kivy: 모바일 앱도 만들 수 있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멀티터치 지원)
  • WxPython: 윈도우 네이티브 스타일을 좋아하는 분들에게 추천
  • Dear PyGui: GPU 기반 렌더링으로 빠르고 모던한 GUI 지원

✨ 선택은 목적에 따라

라이브러리 특징 추천 대상
Tkinter 간단한 구조, 빠른 개발 초보자, 간단한 툴 제작
PyQt 세련된 UI, 풍부한 컴포넌트 전문 앱 개발자
Kivy 모바일 지원, 터치 인터페이스 모바일 앱 개발자

GUI 프로그래밍도 파이썬이 훌륭하게 해낼 수 있다는 점, 정말 놀랍지 않나요?

그리고 생각보다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직접 실행해보면 금방 빠져들게 될 거예요! 😄

 

 

5. 라즈베리파이와 IoT 프로젝트

혹시 파이썬이 IoT(사물인터넷) 세계에서도 활약 중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라즈베리파이(Raspberry Pi)와 결합하면, 파이썬은 물리적인 세계를 제어하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스마트홈, 자동화, 센서 제어, 로봇까지… 상상하는 거의 모든 걸 만들 수 있어요!

🍓 라즈베리파이란?

라즈베리파이는 크레딧카드 크기의 초소형 컴퓨터입니다.

HDMI, USB, GPIO 핀까지 갖추고 있어, 다양한 전자 부품과 연결해 실제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어요.

그리고 그 중심엔 거의 대부분 Python이 있죠!

🔌 GPIO로 LED 제어하기

import RPi.GPIO as GPIO
import time

GPIO.setmode(GPIO.BCM)
GPIO.setup(18, GPIO.OUT)

# LED 깜빡이기
for i in range(5):
    GPIO.output(18, GPIO.HIGH)
    time.sleep(1)
    GPIO.output(18, GPIO.LOW)
    time.sleep(1)

GPIO.cleanup()

이렇게 단 몇 줄만으로도 GPIO 핀에 연결된 LED를 깜빡이게 할 수 있어요.

처음엔 단순한 기능이지만, 센서, 모터, 카메라와 연결하면 IoT 프로젝트가 정말 다양해집니다.

📦 라즈베리파이 + 파이썬으로 가능한 프로젝트 예시

  • 초음파 센서로 거리 측정 후 자동 알림 시스템 만들기
  •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얼굴 인식 출입 시스템
  • 집안의 온도/습도를 측정해 자동 제어하는 스마트홈
  • 파이썬으로 만든 웹서버를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도 적용 가능

심지어 요즘은 MicroPython이나 CircuitPython을 사용하면 아두이노 같은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도 파이썬으로 제어가 가능해요.

IoT 세계에서 파이썬의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라즈베리파이를 기반으로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자동화 장치, 스마트 센서, AI 연동 장비까지 직접 만들어볼 수 있어요.

코딩을 넘어서 진짜 손에 잡히는 결과물을 만드는 경험, 이보다 짜릿할 수 있을까요?

 

 

6. C/C++과 결합하여 성능 최적화

파이썬은 쓰기 쉽고 간결하지만, 때로는 속도나 메모리 성능에서 아쉬운 경우가 있어요.

특히 대규모 수치 계산이나 하드웨어 제어처럼 성능이 중요한 작업에서는 더더욱 그렇죠.

이럴 때 C/C++과 파이썬을 결합하면 그 단점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 왜 C/C++과 결합할까?

  • 속도 문제 해결 (연산 속도 최대 100배 이상 차이)
  • 기존 C/C++ 라이브러리 재사용 가능 (OpenCV, SQLite 등)
  • 하드웨어 제어 시 높은 자유도 확보

🔁 ctypes로 C 함수 호출하기

// C 코드 (multiply.c)
int multiply(int a, int b) {
    return a * b;
}
# Python 코드
from ctypes import CDLL

lib = CDLL('./libmultiply.so')
result = lib.multiply(3, 4)
print("결과:", result)

위와 같이 공유 라이브러리(.so) 파일을 만들어 파이썬에서 C 함수를 직접 호출할 수 있습니다.

속도는 C로, 편의성은 Python으로 가져갈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에요!

🔧 C/C++ 연동 도구 요약

도구 특징 활용 예시
ctypes C 함수 직접 로딩 단순 연산 최적화
Cython C와 Python 혼합 코드 대규모 수치 계산
SWIG 자동 래퍼 생성 C/C++ 라이브러리 포장

결론적으로,

Python은 단독으로도 충분히 강력하지만, C/C++과 함께 쓰면 속도와 효율성 면에서 더욱 완벽한 조합이 됩니다.

실제 AI 프레임워크나 고성능 API 서버도 이런 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 파이썬으로 열리는 무한한 가능성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Python은 그저 배우기 쉬운 언어를 넘어서 웹 개발부터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하드웨어 제어, 성능 최적화까지 전방위로 활용 가능한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처음에는 ‘Hello, World!’ 출력으로 시작했더라도, 어느 순간 나만의 웹 앱을 만들고, 데이터를 분석하고, AI 모델을 서빙하고, 심지어 LED를 깜빡이게 할 수 있게 되는 게 파이썬의 진짜 매력이에요.

초보자에게 친절하지만, 전문가도 사랑하는 언어 — 그게 바로 Python입니다.

 

이제 여러분 차례예요.

어떤 프로젝트부터 시작해보고 싶으신가요?

파이썬으로 세상을 바꾸는 그 첫 걸음을 지금 이 블로그에서 함께 시작해봐요! 💪🐍

반응형
반응형

파이썬이란? 초보자를 위한 첫 번째 프로그래밍 언어 가이드

'코딩을 배워야지!'
마음먹은 그 순간,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언어… 바로 파이썬입니다.
왜일까요? 🤔

 

 

안녕하세요!

최근 주변 사람들 중에도 개발에 입문하려는 사람이 부쩍 늘었는데요,

열이면 여덟은 “파이썬부터 시작해볼까?”라는 말을 하더군요.

그만큼 입문용 언어로서의 입지가 단단한 파이썬!

도대체 어떤 매력을 가진 녀석이길래 그렇게 추천을 받는 걸까요?

이 글에서는 파이썬이란 무엇인지, 어디에 쓰이고, 왜 배워야 하는지를 아주 쉽고, 재미있게 풀어드리겠습니다!!

1. 파이썬이란 무엇인가요?

파이썬(Python)은 1991년, 네덜란드 프로그래머 귀도 반 로섬(Guido van Rossum)이 개발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그는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도, 전문적인 소프트웨어 개발까지 가능한 언어"를 꿈꿨고, 그 결과가 바로 파이썬이었죠.

이 언어의 가장 큰 특징은 간결하고 읽기 쉬운 문법입니다.

마치 영어 문장을 읽는 것처럼 이해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누군가에게 인사를 출력하는 코드 한 줄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print("Hello, Python!")

위 코드를 실행하면 "Hello, Python!" 이라는 문장이 그대로 출력됩니다.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도 부담이 없는 구조죠.

 

 

2. 파이썬의 활용 분야는 얼마나 넓을까?

파이썬은 단순한 입문용 언어가 아닙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파이썬이 얼마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용되는지 한눈에 알 수 있을 거예요 👇

분야 적용 사례 주요 라이브러리
데이터 분석 엑셀 자동화, 통계 처리, 차트 시각화 Pandas, Matplotlib, Seaborn
인공지능/딥러닝 AI 학습 모델 개발, 예측 시스템 TensorFlow, PyTorch, Scikit-learn
웹 백엔드 쇼핑몰, 블로그, API 서버 Django, Flask, FastAPI
자동화 업무 자동화, 파일 정리, 크롤링 Selenium, BeautifulSoup, OS

 

 

3. 왜 파이썬을 먼저 배우라고 할까?

파이썬이 입문자들에게 ‘첫 번째 언어’로 추천되는 이유는 단순한 문법 때문만은 아닙니다.

사용성과 확장성, 배우는 재미까지 포함해서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기 때문이에요:

  • 문법이 쉽다: 코드가 영어처럼 읽혀서 이해하기 쉬워요.
  • 활용 범위가 넓다: 웹부터 데이터, AI까지 한 언어로 가능!
  • 자료가 많다: 에러가 나도 검색하면 거의 다 해결돼요.
  • 오픈소스: 무료로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커스터마이징도 자유롭습니다.

이 모든 장점이 합쳐져서, “처음 배운 언어로 평생 써먹는” 그런 멋진 도구가 되는 거죠.

 

 

4. 파이썬을 배우는 현실적인 방법

“좋아, 나도 파이썬 해보자!” 마음먹었다면 이제 진짜 시작이죠.

그런데 막상 뭘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막하지 않으신가요? 🌀

걱정 마세요. 아래 단계를 따라가면 누구나 파이썬 첫 걸음을 안전하게 뗄 수 있어요.

  1. 🔽 공식 홈페이지에서 파이썬 설치 (python.org)
  2. 🛠 코드 편집기 설치: VSCode 추천
  3. 📚 무료 강의 활용: First Coding, 생활코딩, 유튜브, 점프 투 파이썬
  4. 기본 문법 실습: print, if, for, 함수 연습
  5. 🧠 작은 프로젝트 시도: 계산기, 단어장 만들기 등

처음엔 하나씩 따라 하다 보면 어느새 “나도 파이썬 좀 아는 사람”이 되어 있을 거예요. 🔥

중요한 건 매일 10분이라도 손으로 코드를 짜보는 것! 진짜 실력이 거기서 나옵니다.

 

 

5. 다른 언어와 파이썬, 뭐가 다를까?

흔히 개발 언어로 Java, C, JavaScript 등을 들어보셨을 거예요.

그럼 그중에서 왜 유독 파이썬이 입문자용으로 손꼽히는 걸까요?

아래 비교표에서 한눈에 정리해봤어요.

언어 학습 난이도 주요 분야 특징
Python 낮음 AI, 웹, 데이터, 자동화 간결한 문법, 폭넓은 생태계
Java 중간 앱, 서버, 엔터프라이즈 강력한 객체지향, 안정성
C/C++ 높음 시스템, 게임, 하드웨어 고성능, 메모리 제어
JavaScript 중간 웹 프론트엔드 브라우저 중심, 인터랙티브 UI

결론은? 쉽고 재밌게 시작할 수 있는 파이썬이야말로 입문자에겐 최고의 선택이라는 사실!

 

 

6. 파이썬 학습을 위한 꿀팁 & 실수 피하기

처음 파이썬을 배우는 분들이라면 흔히 이런 생각 하실 거예요.

"도대체 뭘 먼저 하고 뭘 하지 말아야 하지?" 사실 저도 초반에 꽤 돌아갔어요.

시간을 절약하고 꾸준히 학습하기 위해 꼭 알아두면 좋은 팁과, 피해야 할 실수를 정리해봤습니다!

파이썬 공부가 쑥쑥 되는 실전 팁 ✨

  • 코드 따라치기 + 변형하기: 강의 예제를 그대로 치는 건 기본! 한 줄만 바꿔보면서 내 것으로 만드세요.
  • 매일 조금씩: 하루 10분씩이라도 꾸준히. 학습 곡선이 쭉 올라가요.
  • 실제 문제 해결에 적용: 계산기, 환율 변환기, 파일 정리기 등 간단한 툴 만들기부터 시작해보세요.
  • 공부 기록 남기기: 블로그, 노션, 구글독스에 기록하며 복습 효과까지!

실전 예제: 나만의 단위 변환기 만들기

def km_to_mile(km):
    return km * 0.621371

user_input = float(input("킬로미터 입력: "))
result = km_to_mile(user_input)
print(f"{user_input}km는 {result:.2f}마일입니다.")

이런 간단한 실습부터 시작하면, 함수, 입력, 출력 등 기초 개념이 몸에 익어요.

그리고 내가 만든 도구가 실제로 작동한다는 경험은 큰 동기부여가 됩니다!

초보자들이 자주 하는 실수 😢

  • 코드만 읽고 실행 안 해보기 – 무조건 타이핑하며 확인해보세요.
  • 개념만 공부하고 실제 활용을 안 함 – 출력 결과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세요.
  • 에러 메시지를 무시함 – 에러도 최고의 스승이에요. 하나하나 분석해보세요.

파이썬 학습에서 중요한 건 완벽함보다 시작하고, 실패하고, 고쳐보는 경험입니다.

그 반복 속에서 진짜 실력이 쌓이니까요.

오늘 당장 작은 실습 하나, 해보는 건 어떠세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파이썬은 완전 처음인 사람도 배울 수 있나요?

물론이죠! 파이썬은 문법이 정말 간단해서 '코딩 1도 몰라요'라는 분들도 쉽게 입문할 수 있어요. 프로그래밍을 글쓰기처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언어랍니다.

파이썬으로 웹사이트도 만들 수 있나요?

네! Django나 Flask 같은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면 멋진 블로그나 커뮤니티 사이트도 만들 수 있어요. 백엔드 개발에도 최적화돼 있답니다.

파이썬은 어떤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

Windows, macOS, Linux 전부 다 지원합니다. 설치도 간단하고 어디서든 동일한 환경을 만들 수 있어요.

유료 강의를 들어야 할까요?

무료로도 훌륭한 자료가 정말 많습니다! 유튜브, 생활코딩, 점프 투 파이썬 같은 무료 강의들로도 충분히 기초부터 탄탄하게 익힐 수 있어요.

인공지능 공부에도 파이썬이 꼭 필요한가요?

그렇습니다. AI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가 파이썬이에요. 대부분의 머신러닝, 딥러닝 라이브러리가 파이썬 기반이라서 필수로 여겨져요.

다른 언어를 배우고 나서 파이썬으로 와도 괜찮을까요?

괜찮습니다! 하지만 파이썬을 먼저 배우고 다른 언어로 넘어가는 게 더 수월하다는 평이 많아요. 기초를 다지기엔 파이썬이 탁월하죠.

 

 

퍼스트코딩 유튜브 영상 보기

 

firstcoding

프로그래밍 입문을 위한 학습영상을 제공합니다.

www.youtube.com

 

 

파이썬, 지금 시작해도 절대 늦지 않았어요

파이썬이라는 단어가 이제 조금은 익숙해지셨나요? 😊

처음엔 어렵게 느껴지지만, 작은 실습 하나만 해봐도 그 재미에 빠지게 됩니다.

“나는 비전공자라서 못 할 것 같아…” 이런 걱정은 오늘부로 내려놓으셔도 돼요.

누구나 시작할 수 있고, 누구나 실력을 쌓아갈 수 있는 언어가 바로 파이썬이니까요.

이 글을 통해 여러분의 첫 발걸음이 조금이라도 더 가볍고 즐거웠길 바랍니다.

 

앞으로도 개발이 재밌어지는 글, 계속해서 공유할게요!

궁금한 내용이나 다뤄줬으면 하는 주제가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이나 메시지 남겨주세요 🙌

파이썬으로 멋진 여정을 시작해봅시다! 🚀

반응형

+ Recent posts